솔루션

라온시큐어 “이오스 수정한 ‘옴니원’ DID 플랫폼, 민간기업으로도 확대 적용”

박현영


[디지털데일리 박현영기자] 보안기업 라온시큐어가 탈중앙화신원인증(DID)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장한다. 현재 맡은 정부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한편, 민간기업에도 라온시큐어의 DID 기술을 공급하겠다는 전략이다.

13일 라온시큐어와 자회사 라온화이트햇은 ‘라온 미디어 데이’ 행사를 온라인으로 개최하고 DID 정부사업 수주 성과와 현황을 공개했다. 또 올해를 DID 사업 확대의 원년으로 삼고 민간 영역으로도 DID 사업을 공격적으로 확장하겠다는 계획을 전했다.

◆행안부 모바일운전면허증 구축…"민간서 쓰이는 신분증으로 확대"

DID란 ‘Decentralized Identity’, 즉 탈중앙화 신원의 약자다. 탈중앙화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중앙기관 없이 자신의 신원을 증명하는 것을 뜻한다. 사용자는 발급 받은 DID 인증을 다른 기관이 아닌 자신의 기기에 직접 저장하고, 인증이 필요할 때마다 필요한 정보만 제공함으로써 신원을 증명할 수 있다. 신원확인은 확인이 필요한 검증자가 블록체인 상에서 발급기관과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현재 라온시큐어는 행정안전부 ‘모바일 운전면허증’의 사업자로서 LG CNS와 함께 DID 기반 운전면허증을 구축하고 있다. 발급기관은 도로교통공단이며 한국조폐공사가 운영기관으로 참여해 국가 신분증으로서 공신력을 보장한다.

신분증의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공공기관, 금융기관은 물론 편의점, 렌터카 등 민간 영역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발급도 모바일로 할 수 있다. 손병국 라온화이트햇 옴니원 사업기획팀장은 “휴대폰 하나로 어디서든 내가 원하는 정보로 신원을 인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 도입 시 기대효과로는 ▲DID를 발급받은 사용자가 데이터주권자로서 필요한 정보만 제공하면 되는 점 ▲신분증 발급기관은 국가 플랫폼을 기반으로 안전하게 신분증을 발급할 수 있는 점 ▲서비스 제공자(신분증 검증자)는 신원 확인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점 등을 제시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이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의 노드(네트워크 참여자)는 쓰기 노드와 읽기 노드로 나뉜다. 쓰기 노드는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행정안전부와 경찰청, 한국조폐공사로 한정된다. 읽기 노드로는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신분증으로 인정할 공공기관이 참여하며, 향후 민간기업도 참여할 예정이다.

◆"DID 기반 증명서로 군 복지 강화"
모바일 운전면허증 외에도 라온시큐어는 병무청의 블록체인 기반 전자지갑 민원서비스를 구축하고 있다. 이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블록체인 시범사업이자 다년도 과제다.

사용자는 DID가 적용된 병무청 전자지갑을 통해 디지털증명서를 편리하게 발급받고 이를 연계 서비스에서 활용할 수 있다. 사용처는 금융기관, 대학 등 교육기관, 군인공제회 등 복지기관이다.

예를 들어 군 입대를 앞둔 대학생들은 DID 기반 증명서를 발급받아 학교에 휴학신청을 할 수 있다. 현재 중앙대학교가 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또 군인공제회에선 DID 기반 증명서로 군장병 자격을 확인한 뒤 상품 가격 할인 등의 복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손 팀장은 “복지 사각지대에 있었던 사회복무요원까지 혜택 받을 수 있게끔 연계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서비스를 통한 기대효과로는 ▲DID를 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다양한 군 복지 확대 ▲기존 서류를 통한 증명서 발급에 비해 73만 시간 절감, 64억원(서류발급비용 및 교통비 등 사회적 비용) 절감 등을 제시했다.

◆이오스 수정한 옴니원 플랫폼…"향후 하이퍼렛저 패브릭과 연동"

정부사업 DID에 쓰이는 블록체인 플랫폼은 라온시큐어가 개발한 옴니원 플랫폼이다. 라온시큐어는 블록체인 플랫폼 ‘이오스’를 DID에 맞게 수정해 옴니원을 개발했다.

김태진 라온시큐어 전무는 “옴니원은 이오스를 커스터마이징해서 만든 플랫폼으로, 이오스를 사용한 이유는 DID와 이오스의 기능이 잘 맞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DID에는 사용자 별로 개인 키가 생성되는 플랫폼이 필요하고, 성능과 합의알고리즘까지 고려했을 때 이오스가 가장 적합했다”고 설명했다.

이오스 기반을 유지하되, 라온시큐어는 향후 옴니원 플랫폼을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록체인과 연동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하이퍼레저 패브릭은 기업용 서비스에 많이 쓰이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대표주자 격이다. 이를 사용하는 기업이 많은 만큼, 옴니원을 연동하면 민간기업에 DID를 도입할 수 있는 여지가 커진다. DID 사업을 정부사업뿐 아니라 민간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손 팀장은 “하이퍼레저 패브릭을 쓰고 있는 기업에서 DID가 필요한 비즈니스가 있을 것”이라며 “그런 비즈니스에서 옴니원 DID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연동 기능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현영
webmaster@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