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지영 칼럼

[취재수첩] 국정원이 클라우드를 도입하는 상상

백지영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행정안전부는 ‘국가 클라우드 대전환’에 따라 오는 2025년까지 현재 운영 중인 행정·공공기관 정보시스템 22만대 가운데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통합·구축 운영 중인 시스템을 제외한 83%, 즉 18만대의 정보시스템을 공공 혹은 민간 클라우드센터로 전환할 예정이다.

당초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들은 여기에 시장에 열릴 것으로 보고 큰 기대를 걸었다. 하지만, 현 상황을 보면 당장은 많은 부처의 시스템이 행안부 산하 국가정보자원관리원로 통합될 것으로 보인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44개 정부부처의 정부 주요 시스템을 관리하는 국가 데이터센터로 현재까지 유일한 공공 클라우드센터로 지정돼 있다.

물론 일부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와 지자체가 협력해 공공 클라우드센터를 운영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행안부는 우선 현재 구축돼 있는 대전과 광주센터, 그리고 내년부터 운영될 대구센터를 중심으로 공공 클라우드센터를 확대시킬 계획이다. 그렇다보니 국내 클라우드 기업들이 생각하는 것만큼의 시장 확대가 이뤄지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크다.

최근 만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공공분야 클라우드 활성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레퍼런스만큼 좋은 동인은 없다”며 “정부부처나 기관 담당자를 만나면 어쩔 수 없이 미국 중앙정보국(CIA)나 국방부의 클라우드 도입 사례를 드는데, 앞으로는 국내 사례를 발표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토로했다.

실제 미국 CIA는 지난 2013년 미국 연방정부의 ‘클라우드 퍼스트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아마존웹서비스(AWS)와 10년 간 6억달러 규모 클라우드 구축 사업 계약을 맺은 바 있다. 클라우드 기술이 비용을 절감하고 정부기관에 더 유연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지원한다는 이유다.

다만 CIA는 당시 AWS의 일반적인 퍼블릭 클라우드를 이용하지 않고, 이와 동일한 인프라를 정부 전용 인프라에 구축하는 것을 방식을 취했다. 보안과 컴플라이언스 등을 강화하는 차원이었다. 하지만 CIA와 같은 국가기관이 민간 클라우드 기술을 채택했다는 점에서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AWS의 클라우드가 확산되기 시작한 계기가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만약 국내에서 국가정보원과 같은 기관이 민간 클라우드를 도입하면 어떨까. 현재 44개 주요 정부부처 대부분의 시스템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센터에서 통합 관리되고 있지만, 국정원과 청와대, 국방부 등 3곳은 빠져있다. 국정원의 IT 활용은 베일에 쌓여있지만 분명 최신 기술 도입 최전선에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정부부처나 공공기관이 클라우드를 도입하려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을 받은 서비스 선택은 물론이고 국정원의 보안성 검토를 필수로 받아야 한다. 국정원이 클라우드 도입을 위한 보안 검증 역할을 넘어 스스로가 클라우드 도입 레퍼런스가 된다면 공공부문 클라우드 도입 활성화에 분명 도입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지난 2015년 클라우드 발전법이 제정될 당시, 국정원과 같은 파격적인(?) 공공부문 클라우드 도입 사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당시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장을 맡고 있었던 송희경 전 KT 임원(전 새누리당 비례대표)의 발언으로 글을 마무리 해 볼까 한다.

“국내 클라우드 산업이 활성화 되려면 분기점이 되는 큰 한방이 필요하지 않나 싶다. AWS도 미국 중앙정보국(CIA)에 도입되면서 업계의 신뢰를 더 얻을 수 있었다. 보안인증보다 국가의 중요한 시스템은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에 맡길 수 있다는 레퍼런스가 국내 클라우드 경쟁력을 위한 강력한 무기가 되지 않을까.”
백지영
jyp@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