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안나 기자] 위메프가 파격적인 수수료 정책으로 판매자 늘리기에 나선다. 업계 최저 수준은 물론 상품군별 차등 수수료를 적용하던 오픈마켓 방식에서 벗어나 정률 수수료를 매기는 포털 방식을 적용한다.
21일 위메프는 기존 오픈마켓 수수료 방식 대신 포털 방식 수수료인 2.9% 정책을 도입한다고 전했다. 위메프가 이번에 책정한 수수료율은 결제대행사(PG)수수료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업계 최저치다.
지난해 12월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유통업계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온라인쇼핑몰 수수료율 평균은 13.6%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플랫폼 사업자도 매출 연동 수수료 외 별도 결제 수수료 등을 더해 5% 이상 수수료를 적용한다. 이에 비해 위메프 입점 판매자들은 수수료 부담을 대폭 낮출 수 있는 셈이다.
단 2.9% 수수료율은 상시 판매 제품에 해당한다. 위메프 특가에 참여하는 입점사에겐 상품 판매당 과금 방식(CPS : Cost Per Sale)을 적용해 광고비 대비 매출액 기준 5000%, 2000%를 보장하는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오픈마켓 사업자들에게 입점사 수수료는 수익과 직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메프가 업계 최저 수준 수수료를 제시한 건 그만큼 판매자 유치 중요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판매자들이 늘어나 다양한 상품을 판매할수록 해당 오픈마켓을 찾는 소비자들이 많아진다.
업계 관계자는 “오픈마켓에선 파트너사들도 또 하나의 고객이며 이들의 참여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며 “파트너·소비자 모두 확보하는 방법으로 수수료를 낮추거나 역으로 지급하는 등 직접 혜택 방식을 내놓기도 한다”고 전했다.
위메프는 오픈마켓 차등수수료제 대신 네이버·카카오가 적용한 정률수수료를 적용해 다른 오픈마켓과 차별화한다. 기존 오픈마켓 사업자들은 상품 카테고리별로 수수료를 차등해 받고 있다. 공정위 온라인쇼핑 소분류 평균 수수료 기준 남성 캐주얼 15.4%, 도서 11.6% 등 각각 다른 판매수수료율이 책정된다. 이는 상품군별 이익이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위메프가 포털 방식 정률 수수료를 적용한 건 오픈마켓 간 경쟁에 그치지 않고 네이버·카카오와 같은 커머스 플랫폼으로 도약하려는 포석이 깔려있다. 판매자가 정률 수수료를 원할 경우 네이버·카카오와 함께 위메프까지 입점을 함께 고려하게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경쟁사 대비 절반 가까이 낮은 수수료율은 판매자들에게 강력한 입점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위메프 관계자는 “주요 커머스 중엔 최저 수수료율을 적용하고 차등 적용도 하지 않는다”며 “네이버·카카오처럼 커머스 플랫폼으로 확대하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위메프는 이번 도입한 포털 방식 2.9% 최저 수수료 체계를 한시적 프로모션이 아닌 자체 수수료 체계로 운영할 계획이다. 다른 오픈마켓 사업자들은 당장에 위메프와 같이 정률 수수료를 적용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일각에선 판매자들이 각자 입점해 판매하는 제품 마진이 다르기 때문에 정률 수수료를 받는 건 자유로운 판매 형태와 결이 맞지 않는다는 주장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