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비즈니스

[주간 블록체인] 해외에서 디파이 터질동안 국내에선 ‘DID’가 터졌다

박현영


[디지털데일리 박현영기자] 한 주간 블록체인‧암호화폐 업계 소식을 소개하는 ‘주간 블록체인’입니다.

요즘 전 세계 블록체인 업계는 디파이(De-fi, 탈중앙화금융)로 뜨겁죠. [주간 블록체인]에서도 디파이 열풍과 그에 따른 부작용을 여러 번 소개했었는데요, 국내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디파이 말고도 ‘핫한’ 게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신원증명(DID)입니다.

최근 정부와 각 지자체에서 DID가 적용된 모바일 신분증이 나오는가 하면, DID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DID 연합체’들은 수많은 상용화 서비스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암호화폐 없이도 블록체인은 그 자체로 유용한 기술이라는 것을 DID가 보여주고 있죠.

이번주에도 DID의 다양한 활용 사례가 나왔는데요, [주간 블록체인]에서 살펴보겠습니다.

◆DID 세상엔 ‘빅브라더’가 없다


DID란 ‘Decentralized Identity’, 즉 탈중앙화 신원의 약자입니다. 탈중앙화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중앙기관 없이 자신의 신원을 증명하는 것을 뜻합니다. 사용자는 발급 받은 DID 인증을 다른 기관이 아닌 자신의 기기에 직접 저장하고, 인증이 필요할 때마다 필요한 정보만 제공함으로써 신원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신원 확인은 블록체인 상에서 발급기관과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DID 사용의 가장 큰 이점은 개인, 즉 사용자가 정보 주권을 찾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다른 기관 또는 사람에게 개인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서도 신원을 증명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정보 유출 위험이 적죠. DID로 인증하는 세상에서는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동의’를 습관처럼 누르지 않아도 되는 것입니다.

인증과정이 더 빨라지고 편리해지는 것도 장점입니다. 각각의 기관이 개인정보를 수집해 신원을 증명하는 현 시스템보다 신원인증에 들이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신원을 증명해야 하는 사용자나, 신원을 확인해야 하는 기관이나 모두 이점을 누릴 수 있기 때문에 DID는 공인인증서의 대체 수단으로 불립니다.

◆공무원증‧운전면허증도 ‘DID로’

우리나라에선 정부부터 DID 도입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국민 대다수가 DID를 쓰게 될 전망입니다. 정부가 모바일 신분증 구축에 DID를 적용하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올해 말부터 DID가 적용된 모바일 공무원증을 도입하며 이를 장애인 복지카드, 운전면허증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지자체들도 DID 도입에 활발히 나서고 있습니다. 부산광역시는 ‘블록체인 특구’로 지정된 도시답게 DID가 적용된 모바일 신분확인 체험 서비스를 운영 중입니다. DID로 부산 시민임을 인증하고 부산시민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또 경상남도도 DID를 적용해 디지털 공공서비스 플랫폼을 구축 중입니다.

또 공공기관인 한국인터넷진흥원(KISA)는 DID를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사원증을 도입했습니다. KISA는 사무실 출입뿐 아니라 도서대출, 구내식당 이용 등 부가서비스에도 해당 사원증을 사용하게 한다고 밝혔습니다.

KISA의 DID 기반 모바일사원증 작동방식./출처=KISA
KISA의 DID 기반 모바일사원증 작동방식./출처=KISA
◆최근 한 달 동안 수두룩…상용화 서비스 쏟아내는 DID 연합체들

정부와 지자체도 DID를 도입하고 있지만, 가장 활발한 건 ‘DID 연합체(얼라이언스)’들입니다. 현재 국내에는 DID 기술을 보유한 블록체인 기업을 중심으로 4개의 얼라이언스가 존재합니다. 각 얼라이언스에선 블록체인 기업의 DID 기술을 얼라이언스 회원사의 서비스에 적용하면서 DID 상용화 사례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국내 DID 연합체는 ▲블록체인 기술기업 아이콘루프가 이끄는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 ▲SK텔레콤이 주도하고 나머지 통신사가 합류한 ‘이니셜 DID 연합’ ▲블록체인 기술기업 코인플러그가 이끄는 ‘마이키핀 얼라이언스’ ▲보안기업 라온시큐어가 중심인 ‘DID 얼라이언스’ 등 4개입니다.

이 중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와 마이키핀 얼라이언스가 최근 들어 특히 활발합니다.

아이콘루프는 최근 채용 플랫폼 사람인의 증명서 위변조 방지 서비스와 수험생 오프라인 시험 출결 체크 서비스에 마이아이디를 도입했습니다. 채용 시장에서 DID 기술을 활용하는 첫 사례입니다. 또 신한은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쏠(SOL)에 마이아이디를 도입하면서 은행권에도 DID 기술을 적용했고, 제주도에서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방문자를 체크하는 데에도 마이아이디를 적용했습니다.

마이키핀 얼라이언스의 코인플러그도 최근 부산시 산하 창업지원센터 출입증에 DID 기술을 적용했습니다. 또 무인 편의점 기업 HP리테일과 협업해 무인편의점 출입에도 DID가 쓰이도록 헀습니다.

위에 나열한 상용화 사례는 최근 한 달 간의 사례만 짚은 것입니다. 해외에서 디파이가 뜨는 동안 국내에선 DID가 뜬 이유입니다.

◆DID 꽃길 터주려면 ‘표준화’ 필요

다만 국내 DID 관련 업계에 ‘꽃길’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상용화 사례가 쏟아지고 있는 만큼,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습니다. 바로 얼라이언스 별로 제각각인 DID 기술 표준을 표준화하는 것입니다. 현재는 얼라이언스마다 DID 솔루션이 다른 탓에 각자 회원사에만 솔루션을 적용하고 있죠. DID가 보편적으로 널리 쓰이려면 표준화 작업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지난 7월 정부 부처와 민간 기업이 함께 하는 ‘민‧관 합동 DID 협의체(이하 협의체)’가 구성됐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등 정부 부처와 KISA, 금융위원회 등이 참여하며 민간에서는 DID 얼라이언스들이 모두 참여하는 연합체입니다. 하지만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협의체 활동은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각 얼라이언스들이 열심히 선보인 DID 상용화 서비스가 빛을 발하려면, 해외 사례를 참고해 DID 표준화에 속도를 내야 합니다. 각각의 DID 솔루션을 하나의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일원화하지는 못하더라도 API를 연동하는 등 함께 쓸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하죠.

해외에선 국제 웹표준화 컨소시엄(W3C)을 중심으로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W3C에는 여러 DID 기술 기업이 참여해 전 세계에서 통용될 수 있는 DID 표준을 수립 중이고요. W3C 기준과 호환되는 DID 표준을 마련 중인 ‘트러스트 오버 아이피(ToIP)재단’도 있는데요, 최근 국내 기업 LG CNS가 ToIP 재단에 합류해 기대를 모으기도 했습니다.

<박현영기자> hyun@ddaily.co.kr

박현영
webmaster@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