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안나 칼럼

[취재수첩] 코로나19 재택근무 온도차

이안나
- 유연한 근무환경 요구되는 상황에서 새로운 도전 기회 삼아야

[디지털데일리 이안나기자]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라 기업들은 비상경영체제를 다시 가동하고 방역관리에 힘쓰는 모습이다. 체온 측정과 마스크 착용, 회식 및 단체행사 금지 등 위생과 청결에 집중하는 건 공통적이다. 그러나 근무환경은 크게 두 부류로 나뉜다. 재택근무인지, 재택근무가 아닌지다.

HP코리아는 지난 2월 처음 재택근무에 돌입했다. 다른 기업들은 재택근무를 도입했다가 확진자 추세가 진정될 즈음 다시 복귀한 반면 이 회사는 체제를 쭉 유지해왔다. 내부적으론 집에서 근무할 때와 사무실에서 근무할 때 차이가 없어 이번 기회에 재택근무를 정착시키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사무실에서 일부 직원들 자리를 뺄지도 모른다는 말이 농담으로만 들리지 않는 이유다.

이는 흔치 않은 사례다. 여전히 많은 기업들은 재택근무에 소극적이다. 삼성전자·LG전자 포함 쿠쿠·코웨이 등 중견 제조업체들도 마찬가지다. 근무시간을 조절하는 탄력근무제를 확대하거나 임산부, 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 직원에 한해 신청을 받는 정도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수원 가전사업부(CE) 직원 대상으로 재택근무에 대한 수요 조사를 진행했지만 이후 추가 진행된 사항은 없다.

주로 “제조업은 원래 그렇다”, “IT·통신과는 상황이 다르다”는 이유다. 생산라인이 24시간 돌아가야하는 상황에선 물리적으로 재택근무가 불가능한 부분이 있는건 사실이다. 그러나 제조업 기업에도 마케팅·인사·회계 등 생산라인 운영과 직접적 관계가 없는 직군이 적지 않게 있다. 그럼에도 재택근무를 시도조차 하지 않고 있는건 단지 기존 체제를 유지하는게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일까.

‘원래 그런거야’라고 말하는 순간 우리는 질문을 멈추고 변화에서 멀어진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유연한 업무환경에 적응해 어디서 일하든 생산성·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건 분야를 막론한 기업 공통의 과제다. 그 최종점이 재택근무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다만 변화해야 할 환경에 처해 있다면 오히려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가 새로운 도전의 시험장이 될 수 있다.

HP의 경우 재택근무 과정 중 흔하면서 힘들었던 점 중 하나는 PC가 고장났을 때였다. 예측 못한 어려움이었다. 보안 프로그램이 설치된 업무용 PC만 써야하는 상황에서 접속은 안되고, 회사에 수리를 하려 가려니 출입 허가 절차가 복잡했다. 현재 클라우드 기반으로 본사 시스템을 정비해 수리 서비스까지 원격으로 받을 수 있게 했다.

재택근무를 도입한 기업들은 그 안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해나가는 등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생산성 차이는 경쟁력 차이로 이어진다. 인재들은 회사에 자신을 맞추기보다, 자신을 지원해줄 수 있는 회사를 찾는 추세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는 기업들 사이에서 ‘화끈한’ 시도가 필요하다.

<이안나 기자>anna@ddaily.co.kr
이안나
anna@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