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정부는 6일 열린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의장 국무총리 정세균)를 통해 코로나19의 위기를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만들기 위한 과학기술 혁신방향을 제시하는 ‘코로나 이후,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과학기술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이번 정책방향은 코로나19로 인한 거대한 변화의 시점,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확실한 대비책인 과학기술을 통해 변화를 조망하고, 전 사회·산업 영역에 걸친 선제적 혁신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는 ▲민간이 중심이 되는 과감한 R&D모델 확산(기술·R&D) ▲산업의 디지털 전환 대응·자생력 강화(산업·지역) ▲미래 일자리 변화에 맞는 과학기술인재 성장 지원(인재·교육) ▲과학기술 기반으로 산학연이 협력하는 위기대응체계 구축(위기대응) ▲과학기술 외교를 통한 글로벌 리더십 확보(리더십)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R&D 선점 투자를 통해 한국판 뉴딜을 뒷받침하고 기술보다는 문제해결 관점에서 R&D 기획단계부터 선제적 규제혁신을 함께 추진하는 R&D 모델을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헬스케어, 교육·문화, 교통·물류 등 8개 영역의 30개 유망기술을 발굴·제시한 바 있으며 한국판 뉴딜 프로젝트를 포함한 R&D 투자를 통해 구현해 나가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R&D 성과의 시장진출이 규제장벽으로 가로막히지 않도록 예타규모 이상 대형 R&D 사업은 기획단계부터 규제완화 사항을 파악해 R&D 수행과정에서 규제혁신 방안을 모색한다.
산업의 디지털 전환 대응·자생력 강화를 위해서는 디지털 뉴딜을 통한 인프라 투자와 다양한 융합 서비스 확산으로 산업의 스마트화(자동화·지능화) 및 지역 혁신역량 제고를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산학연 협력체계(3N, 융합혁신지원단 등) 강화 및 국내 우수기업 육성(100개) 등 소부장 2.0 전략을 추진하는 한편 R&D 혁신자원을 연계·조정하는 ‘지역 기술사업화 협업 플랫폼’을 구축한다.
과학기술인재의 성장 지원을 위해서는 재직자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디지털 재교육 지원을 강화하고, 지역 대학이 인근 기업의 재교육 수요를 바탕으로 AI·빅데이터 등의 전문교육(비학위)을 지원하는 상생교육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정책방향의 추진과제를 단기와 중장기로 구분해 추진하고 주요 추진과제의 경우 올해 하반기 마련할 예정인 국가R&D 혁신방안 실행계획에 반영해 이행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