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LG화학 신학철호 출범 2년차, 위기관리 시험대…연이은 사고, 안전불감증 우려↑(종합)

윤상호
- ESS화재·배출가스 조작·인도 화학재해·대산공장 사상사고 등 연이은 사고 도마 위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이쯤이면 안전불감증 의혹을 피하기 어렵다. 신학철 대표<사진> 취임 후 LG화학에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작년은 배터리 화재와 대기오염물질 조작, 올해는 석유화학이 말썽이다. 새 비전을 선포하자마자 인도와 국내에서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19일 LG화학은 충남 서산시 대산공단 LG화학 촉매센터 화재로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했다고 밝혔다.

LG화학은 “작업 종료 후 철수 시점에 파우더가 분출, 자연발화하면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한다”라며 “정확한 원인은 조사 중”이라고 해명했다.

또 “사고 수습에 만전을 기하며, 모든 조치를 강구하고 책임을 다하겠다”라며 “철저한 진상 규명과 원인 분석을 통해 이런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했다.

인도 사고 2주 만에 국내에서 사망 사고가 났다. 신학철 대표를 수장으로 하는 인도 사고 비상대책위원회가 가동 중임에도 불구 대산공장 사고가 발생했다. 업계는 LG화학 위기대응시스템에 우려를 제기했다.

지난 7일(현지시각) 인도 안드라프라데시주 비사카파트남시 LG폴리머인디아에서는 가스 누출 사고가 났다. 인근 주민 12명이 죽고 1000여명이 병원 치료를 받았다. 인도 국립재난대응기구(NDRF)는 ‘화학 재해’로 규정했다.

인도 사고 때 LG화학 본사는 새 비전 선포식을 열고 있었다. 14년 만의 비전 선포를 강조했다. 신 대표가 직접 나섰다. 신 대표는 “고객 기대를 뛰어넘는 가치를 만들어갈 시점”이라며 “LG화학이 진정한 글로벌 기업으로 탈바꿈하는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도 사고 공식 사과문은 2일 후인 9일에나 나왔다. 이미 인도 정부가 관련 법규 위반 등 사법처리를 암시한 이후다. 피해보상금 등도 인도 정부가 먼저 제시했다. 현지여론은 공장 폐쇄까지 요구했다.

업계 관계자는 “법적 책임에 관한 위험 부담을 줄이려다가 대응이 늦어진 듯 하다”라며 “인도는 화학 사고 트라우마가 있는 국가다. 사고 처리가 지연할 경우 인도에 진출한 다른 우리나라 기업에도 피해가 있을 수 있다”라고 걱정했다.

신 대표는 지난 2018년 11월 구광모 LG 회장 취임 직후 처음으로 영입한 외부 최고경영자(CEO)다. 그가 LG화학을 맡은 후 우연찮게 LG화학이 나쁜 일로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조직문화 개편 성장통으로 보는 시각도 조직 장악력 미흡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작년 LG화학은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로 곤혹을 치렀다. LG화학 난징공장에서 생산한 특정 제품이 문제가 됐다. 지난 2월 정부는 2차 조사결과 배터리가 원인이라고 특정했다. 신 대표 재직 전에 생산한 배터리가 이유였지만 배터리 사업 실적 악화는 불가피했다. ESS 사업 기반도 흔들렸다. 삼성SDI에 비해 소극적 대처로 책임회피 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지난해 4월에는 여수국가산업단지 LG화학 여수화치공장이 대기오염물질 배출 수치를 4년 동안 조작한 사실이 드러났다. 환경기업으로 포장했던 LG화학 이미지에 타격을 입었다. 신 대표는 공식 취임 한 달 만에 대표이사 사과문으로 수습에 나섰다.

신 대표는 “관련 생산시설을 폐쇄하기로 결정했다”라며 “공신력 있는 기관의 위해성 및 건강영향평가를 지역사회와 함께 투명하게 진행해 그 결과에 따라 보상이 이뤄지도록 하겠다”라고 약속했다.

한편 LG화학은 작년부터 SK이노베이션과 배터리 관련 소송도 진행하고 있다. LG화학 임직원의 SK이노베이션 대규모 이직이 발단이다. 소송 추이와 별개로 LG화학 노무관리 개선 목소리가 컸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윤상호
crow@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