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2019]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 “딥페이크 기술, 악용 막겠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사진>은 18일 국회에서 진행된 과기정통부 종합감사에서 “딥페이크 기술은 정교할수록 식별이 어려워 연구가 필요하다”며 “현재 (기술력은) 미국이 앞서는 것으로 보인다. 협력을 모색하거나 기술개발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의원들은 정부 차원의 대응책 마련을 당부했다.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미국 국방부는 딥페이크를 국가안보차원에서 다루는 등 청문회를 열고 관련 대책을 논의했다”며 “한국도 딥페이크 악용방지 기술개발에 적극 나서야 한다. 과기부, 국방부 등 정부기관이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딥페이크 식별기술이 중요하다”며 “사진 한 장으로 목소리, 움직이는 동영상을 만들 수 있다. 누구든지 범죄에 악용할 소지가 있어 식별 기술과 함께 막을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최기영 장관은 “딥페이크 기술은 순기능과 역기능이 있다. 순기능도 생각해야 한다”며 “챌린지 대회도 열고 연구지원도 하고 있다. 순기능과 역기능은 함께 연구해야 할 사항”이라고 전했다.
미국은 딥페이크 기술을 안보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심각한 안보위협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주요 인사에게 메시지를 조작해 보낼 수 있어 미국에서도 투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최기영 장관은 “딥페이크 기술과 관련해 적극적으로 예산에 반영하겠다”고 답했다.
<홍하나 기자>hhn0626@ddaily.co.kr
[IT백과] 측정 못하면 관리도 불가능…SBOM·CBOM 차이는?
2025-04-21 12:23:03개발자가 주도하는 스트리밍 시대…AWS ‘게임리프트 스트림’이 바꾼 변화
2025-04-21 12:22:47신성이엔지,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참가…방음태양광·솔라스킨 기술 대거 공개
2025-04-21 11:04:54이재명, “R&D 예산 대폭 확대…지거국을 과학강국 전초기지로”
2025-04-21 11:03:19아이디스파워텔, ‘가성비’ LTE 무전기 ‘라져 라이트3’ 신규 출시
2025-04-21 10:3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