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기

[5G+전략산업/웨어러블기기] 스트레스 분석하는 5G 스마트의류 나온다

최민지
정부는 범부처 민‧관 합동 ‘5G+ 전략위원회’를 구성하고 19일 첫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정부는 2026년 5G+ 전략산업 생산액 180조원, 수출 730억달러 달성을 위한 15대 5G+ 전략산업별 중장기 정책목표와 추진계획(안)을 제시했다. 각 산업별 추진계획을 분석해본다. <편집자 주>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피로도와 스트레스를 분석하는 5G 스마트의류와 근력증강 소프트슈트가 개발된다. 각각 2022년부터 2023년, 2023년부터 2024년까지 기술개발이 계획돼 있다.

19일 정부는 범부처 민‧관 합동 ‘5G+ 전략위원회(이하 전략위원회)’를 열고 5G+ 전략산업에 선정된 웨어러블기기 육성정책을 내놓았다. 이와 관련 정부는 2026년 5G 기반 웨어러블기기 시장점유율 12%를 달성하고, 5G 연계 디바이스 4종 이상을 보급하고 전문기업 6개 이상을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정부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G 기반 헬스케어, 인간 다중능력, 증강 등을 구현하는 인공지능(AI) 웨어러블기기 기술을 개발한다. 스마트폰 보조기기를 넘어 초지능, 저전력, 초경량 기반으로 산업, 의료, 안전 등 특화된 다중능력 증강 디바이스를 상용화할 예정이다.

국민안전·건강을 유지시키는 웰니스 서비스도 개발된다. 5G 기반 엣지컴퓨팅을 이용한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서비스다. 또, 웨어러블 센싱정보 및 환경정보 등 지능적 처리를 지원하는 AI 기반 소프트웨어(SW) 플랫폼 기술도 연구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 웨어러블 인공지능 기기의 기술적 난제인 경량화, 저전력화, 유연성 향상, 인지능력 증강 등을 해결해야 한다.

정부는 5G 기반 웨어러블 제품에 적용될 신기술에 대해 현장에서 실증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지자체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최종 수요기관, 실증·사업화 전문가, 조달청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 운영으로 공공조달을 지원할 방침이다.

또, 지난해 10월 문을 연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용화센터를 통해 5G 융합단말 설계·제작, 시험 평가, 판로개척 등 상용화 전과정을 지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중소·스타트업 대상 국내·외 시장진출을 지원하겠다”며 “공공기관 수요를 기반으로 제품개발 참여기관 등이 공동 협력하는 기술교류회를 실시하고 실증랩을 산업현장 등에 구축하는 등 신속한 사업화를 돕겠다”고 말했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최민지
cmj@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