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중국 우주정거장 ‘톈궁 1호’ 추락 대응 종합점검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는 중국 우주정거장 ‘톈궁 1호’의 추락 상황을 공유하고 기관별 대응체계를 점검하기 위한 관계 기관 합동회의를 22일 한국천문연구원(원장 이형목)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 날 회의에는 과기정통부, 천문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임철호) 등을 비롯한 우주위험 관계 기관 및 관계 전문가가 참석해 ‘톈궁 1호’의 지구 추락에 따른 기관별 역할과 임무를 점검한다.
‘톈궁 1호’는 중국 최초의 우주정거장으로, 2011년 9월 발사돼 우주인 체류 및 우주화물선 도킹 등 임무를 수행한 이후 2016년부터 지속적으로 고도가 낮아지며 지구로 추락하고 있다.
3월 20일 현재 고도는 216㎞이다. 천문연을 포함, 전 세계 주요 우주감시 기관은 3월말에서 4월 중순 사이에 ‘톈궁 1호’가 지구 대기권에 진입 후 최종 추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추락 가능 지역은 북위 43도에서 남위 43도 사이로 추정되고 있다.
‘톈궁 1호’는 고도 70~80㎞ 상공의 대기권에 진입할 때 대기 마찰열에 의해 해체되어 대부분 소실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파편이 지구로 낙하해 피해를 줄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현재까지 인공우주 물체의 추락으로 인한 인명피해 사례는 전 세계적으로 알려진 바 없다. 또한 우리나라 면적은 추락가능 지역인 북위 43도~남위 43도 영역 대비 약 1/3600 정도로, 우리나라에 추락할 가능성은 극히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과기정통부와 천문연은 앞으로 추락 상황에 대한 감시를 지속 강화하고, 추락 예상 약 1주일 전, 2일 전 및 최종 2시간 전에 ‘톈궁 1호’의 추락 상황을 안내할 예정이다. 아울러, 추락 예상 1주일 전부터는 천문연 우주위험감시센터 홈페이지와 트위터를 통해 ‘톈궁 1호’의 실시간 추락 상황을 국민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개할 예정이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中 딥시크 쇼크, 클라우드 빅테크 수익화 전략에 미칠 영향은?
2025-02-01 14:00:00딥시크 출현, 진짜 의미는?...업계 “스타트업엔 기회, 엔비디아 무용론은 과장”
2025-02-01 12:28:18[네트워크 통·장] 트럼프 2기, 광통신 투자 집중?…韓 수혜주는
2025-02-01 11:03:00미 SEC, 비트코인·이더리움 결합 ETF 승인… 금융기관, 출시 ‘러시’ 예고
2025-01-31 17:55:13中관영매체 "딥시크에 무차별 사이버공격…모두 미국 IP"
2025-01-31 17:5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