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러코스터 디스플레이 장비 시장…OLED 투자에 ‘울렁’
[디지털데일리 이수환기자] 지난해 전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규모가 사상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올해는 전년 동기 대비 9% 하락해 잠시 숨을 고를 전망이다. 내년에는 다시 한 번 시장규모 확대가 예상되지만 이후에는 큰 폭의 하락이 예상된다. 중국의 OLED 굴기와 함께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의 투자 향방이 핵심이다.
19일 시장조사업체 DSCC(Display Supply Chain Consultants)에 따르면, 2017년 디스플레이 장비 시장규모(매출액 기준)는 전년 동기 대비 30% 상승한 247억달러(약 26조4200억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는 225억달러(약 24조원)로 주춤하겠지만 내년에는 248억달러(약 26조5300억원)로 수직상승 한다는 분석이다. 2020년에는 –25% 성장률을 나타내며 전형적인 롤러코스터 양상이 점쳐진다.
디스플레이 장비 시장이 냉탕과 온탕을 오고가는 이유는 OLED 투자 때문이다. 이미 중국은 OLED 굴기를 천명한 상태고 각 지방정부의 보조금이 대폭 투입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절대적인 위치에 있는 삼성디스플레이 영향이 크다. 올해 삼성디스플레이의 장비 투자액은 지난해보다 64% 줄어들 것이라는 게 DSCC의 예측이다.
전체 OLED 시장에서 스마트폰 비중(최소 85%)이 압도적인 가운데, 2019년을 기점으로 휘어지지 않은 리지드(Rigid) OLED 출하량이 플렉시블 OLED를 넘어설 것이 확실시된다. 이미 매출액 기준으로는 플렉시블 OLED가 리지드 OLED를 앞선 상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해 디스플레이 장비 매출의 31%(75억달러) 차지했다.
OLED와 달리 LCD 장비는 계속해서 힘이 빠지고 있다. 2016년 이후 연간 100억달러(약 10조6900억원)를 하회한다. 2019년 소폭 상승하겠지만 이는 중국 BOE, 차이나스타(CSOT) 등의 10.5세대(3370×2940mm) 팹(Fab) 투자에 의한 것으로 2020년에는 70억달러(약 7조4800억원) 규모로 축소될 전망이다.
로스 영 DSCC 최고경영자(CEO)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중소형과 대형을 가리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비 시장에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며 “중국은 정부의 보조금 덕분에 한국 업체와 비용과 규모면에서 경쟁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수환 기자>shulee@ddaily.co.kr
청첩장 링크 눌렀다가 '헉'…디지털 금융 인증서까지 탈취한다
2025-04-18 10:12:18신한은행, 외국환거래 기업 실무자 초청… 2025 상반기 수출입 아카데미 실시
2025-04-18 10:08:21농협금융-기술보증기금 협력… "중소벤처기업 기술금융 지원 강화"
2025-04-18 09:58:26토스, 보험사와 동일한 자동차 보험료로 비교·추천… 19일부터 일괄 적용
2025-04-18 09:5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