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일 칼럼

[취재수첩] 멈춰선 홍채인증, 다양한 생체정보 활용 계기돼야

이상일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삼성갤럭시노트7의 판매중단으로 은행권 생체인증 방식 추진에도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다양한 생체인증 기술에 대한 법적, 제도적 규제가 아직도 남아있어 빠른 대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갤럭시노트7의 판매중단 및 교환에 삼성전자가 나서면서 시중에서 홍채인증이 가능한 상용 스마트폰은 국내 시장에선 당분간 찾기 어렵게됐다. 갤럭시노트7의 배터리 발화원인을 찾는데 난항을 겪으면서 배터리 뿐만 아니라 구동되는 앱이 기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따져봐야 하는 상황이다.

갤럭시노트7에 처음 탑재된 홍채인식 기능도 다시 한번 들여다볼 필요성이 있는 만큼 차기 스마트폰에서도 홍채인식 기능이 전략적으로 탑재될 지 여부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문제는 은행들이 추진하던 생체인증 기반의 본인확인 시스템이다. 지문인식을 시작으로 생체인증을 통한 본인인증 방법 확산에 나섰던 은행들의 행보는 당분간 잠잠해질 수 밖에 없다.

올 4분기 중에는 금융결제원 주도의 생체정보 분리보관을 주내용으로 하는 생체인증 공동망 서비스 론칭도 앞두고 있는 등 은행권의 생체인증 서비스 적용 속도는 빠르게 진행됐다. 공인인증서는 대부분 금융 소비자들에게 그 필요성과 당위성은 차치하더라도 불편하다는 인식을 갖게 했다. 지금은 많이 개선되고 금융 소비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 공인인증서가 구동되고 있지만 한번 인식된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하는 것은 요원해보인다.

그래서 은행권은 공인인증서를 대체, 혹은 안으로 숨기고 겉으로는 생체인증기술을 통해 편의성을 제고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해왔다. 스마트 금융 시대에 중요한 기술 선점에 대한 은행의 이미지 개선은 덤이었다.

하지만 이번 홍채인증 기술 기반의 뱅킹 서비스가 멈춰서게 되면서 은행권은 다른 생체인증 기술에 대한 고민을 보다 빠르게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각에서 최신 스마트폰에서만 지원하는 제한적인 생체인증 기술에 대해서 부정적인 시각을 보내고 있는 만큼 대중성을 가진 생체인증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범용성을 가진 생체인증 기술에 대해서 도입을 원하는 금융사의 기대만큼 법적, 제도적 뒷받침이 충분히 이뤄지지 못한다는 점이다.

최근 한 카드사 관계자는 목소리인식 기술에 대한 상용화 준비를 끝냈지만 아직 서비스에 적용하지 못했다며 "행정적으로 절차가 남아있어 아직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고 에둘러 말했다.

생체인증은 지문과 홍채만 있는 것은 아니다. 사람의 인체가 가지고 있는 모든 개인적 지표는 생체인증 기술로 활용 가능하다. 다만 빠르게 진화하는 생체인증 기술에 비해 행정적인 처리 속도는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형국이다.

업계에서는 생체인증 기술이 대세가 되더라도 복수의 생체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삼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지문과 홍채, 지문과 목소리, 정맥과 지문 등 2개 이상의 생체정보를 확인해 보다 높은 보안성 확보에나설 것이란 관측이다.

앞으로 많은 금융사들이 새로운 생체인증 기술을 도입하려 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빠르게 지원하고 문제점이 있다면 보완점을 빨리 요구하는 금융당국의 처리속도가 더욱 중요해 질 것이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이상일
2401@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