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테크넷서밋2016] IoT 악용한 ‘사이버 살인’ 막으려면 보안부터 강화해야
[디지털데일리 최민지 기자] 모든 것이 연결된 사물인터넷(IoT) 시대에서 보안을 강화하지 않으면 정보 유출을 넘어 사이버 살인 및 인명 피해 등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5일 엄정용 LG CNS 차장은 <디지털데일리>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주관으로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오픈 테크넷 서밋(Open Technet Summit) 2016’에서 IoT 시대의 보안이슈 대응에 대해 발표했다.
실제로, 지난해 크라이슬러의 ‘지프 체로키’ 차량을 해킹한 시연 영상을 보면 운전자 의도와 무관하게 외부 조작에 따라 브레이크 작동이 멈추는 등 원격으로 제어됐다. 자동차는 전자부품으로 이뤄졌는데 인포테이먼트 시스템을 조정하는 패널에 접근, 중앙통신허브를 해킹한 것이다. 이 허브는 네트워크를 통해 에어백, 브레이크, 차량 엔진 등과 연결돼 있다.
엄 차장은 “자율주행 시대가 오면, 자동차와 외부 사물통신(V2X)이 필요하며 차량과 차량 간 긴밀한 통신이 중요해진다”며 “하지만, 앞차에서 보내는 신호를 변조하게 되면 사고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차량에서 전달하는 메시지를 신뢰할 수 있도록 상호 인증이 이뤄져야 하고, 악성코드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방화벽 등의 조치가 선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스마트미터링도 전력 이용정보를 허위로 전송해 요금을 조작할 수 있는 위험성을 갖고 있다. 기존에는 검침원이 직접 댁내 방문해 전력 이용을 확인했지만, 이제 스마트미터링을 통해 가정 내 전력량을 전력회사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와 관련 전기세를 줄이기 위해 정보 변조 공격이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엄 차장은 “미국에서 해커가 웹 기반 CCTV 700여대를 해킹해 사생활을 그대로 노출시킨 사례도 있었다”며 “스마트 전구에 악성코드를 투입시켜 계속 전원을 끄라는 명령어를 전송, 한 가구가 정전될 수 있다는 사례도 볼 수 있었다”고 말을 보탰다.
이러한 위험 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한 IoT 보안 요구사항으로는 ▲기기 및 서버 간 상호인증 ▲안전한 키 관리 ▲주요정보 보호(암호화) ▲연계정보 무결성 확보 ▲개인정보의 무분별한 수집 차단 ▲소프트웨어, 펌웨어의 무분별한 변경 차단 ▲악성코드 탐지 및 방어 ▲모바일 사용자 인증 ▲네트워크 해킹 공격 대응 ▲네트워크 통합 모니터링 등이 있다.
엄 차장은 “IoT 보안 플랫폼은 다양한 기기에 적용 가능해야 하며, 다양한 운영체제(OS) 및 제한적인 하드웨어 자원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포시에스 박미경 대표, 하이서울기업협회 제7대 협회장 취임
2025-02-24 19:53:21AI 자산관리 플랫폼 에임 "이용자 자산 1천억원 대로 늘려"
2025-02-24 19:27:09[현장] "MZ세대가 위험하다"…웹툰·웹소설 불법유통, 도박 및 성매매로 확산
2025-02-24 17:59:29[DD퇴근길] 5G, 진짜 가입자는?…정부, 단말기준 집계 방식 바꿀까
2025-02-24 17: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