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정부통합전산센터 본격화…대기업·국산 서버에 기회?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대구에 위치할 제3정부통합전산센터(이하 제3센터)의 건립이 본격화되면서 IT업계의 이목이 집중돼 있다. 약 4600억원 이상의 초대형 예산이 투입되는 근래 보기 드문 대형 사업인 만큼, 이로 인한 수혜를 누가 받을지도 관심이다.
앞서 지난 25일 제3센터는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며 구축을 위한 절차를 밟게 됐다. 오는 2018년 대구광역시 도학동 인근에서 오픈할 제3센터는 향후 79개의 행정 및 공공기관의 IT시스템을 운영할 예정이다.
현재 통합센터는 대전과 광주 2곳에서 운영되고 있다. 44개 중앙부처의 1233개 IT시스템을 운용을 위해 2만4000여대의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1, 2센터의 장비 사용 면적이 84% 이상에 달하면서 오는 2017년 말이면 포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제3통합센터는 1, 2센터의 업무처리 포화 상황에 대비함은 물론 센터에 입주해 안정적인 관리를 받을 필요가 있지만 공간 부족 등의 이유로 입주하지 못한 행정 및 공공기관을 위해 건립이 추진돼 왔다. 총 4609억원의 예산이 투입돼 대지면적 8만1000㎡(건물면적은 3만3500㎡)에 9855대의 서버와 스토리지, 네트워크, 보안장비 등을 통합 운영·관리하게 된다.
특히 제3센터는 정부통합전산센터의 클라우드 전환 계획에 따라, 설립부터 ‘클라우드 센터’를 염두에 두고 추진된다. 이미 1, 2센터의 경우 총 1233개 시스템 가운데 올해까지 32%에 해당하는 406개 시스템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했으며, 오는 2018년까지 이를 64%에 해당하는 789개 시스템까지 적용할 방침이다.
때문에 제3센터 구축 시 국산 서버와 네트워크 등을 장비를 제공하는 국내 중소기업과 클라우드 사업을 진행하는 대기업 계열의 시스템통합(SI) 업체가 최대 수혜자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본적으로 제3센터는 국내 중소기업의 클라우드 장비 및 솔루션으로 우선 구축해 예산 절감 및 이들의 기술력·경쟁력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최근 신기술을 전제로 한 대기업의 공공 소프트웨어(SW) 시장 참여가 가능해지게 되면서 이들의 역할이 강조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미래창조과학부는 공공 SW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신시장 창출을 촉진하기 위해, ‘신산업 분야 공공소프트웨어사업 대기업 참여제도 운영지침’을 마련해 시행한다고 밝혔기 때문.
현재 대기업 사업 참여가 가능한 부분은 신시장 창출이 가능한 ‘미래성장동력’ 분야로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소프트웨어 기반의 신기술 적용 사업이다.
미래부가 예시로 든 미래성장동력 분야로는 ▲지능형 IoT ▲빅데이터 ▲5G 이동통신 ▲스마트자동차 ▲심해저 해양플랜트 ▲수직이착륙무인기 ▲지능형로봇 ▲착용형 스마트기기▲실감형 콘텐츠 ▲스마트바이오생산시스템 ▲가상훈련시스템 ▲맞춤형 웰니스 케어 ▲재난안전관리스마트 시스템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직류송배전 ▲초임계CO2발전 ▲지능형 반도체 ▲융복합소재 ▲첨단가공시스템 등 19개 기술이다.
하지만 여기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신기술을 활용한 사업이라면 대기업의 참여를 허용하겠다는 입장인 만큼, 제3센터와 같이 큰 규모의 클라우드 시스템 구축의 경우 대기업의 참여가 허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국내 중소기업의 제품 도입 확대 기조에 따라 국산 서버 등의 도입이 초기 구축 단계부터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미 1, 2센터에 구축된 정부의 클라우드 시스템 ‘G-클라우드’에는 국산 x86 서버가 도입돼 있다. 클라우드 시스템의 경우, 표준화와 확장성의 이슈에 따라 x86 서버를 기본 IT인프라로 두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확신하긴 어렵지만 내달 ‘중소기업자 간 경쟁제품’에 서버, 스토리지 등이 지정될 경우, 당장 내년부터 향후 3년 간은 외국산 제품의 공공 조달 입찰 참여가 원천적으로 차단되기 때문에 이들에게 기회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제3센터는 상주인력 700여명의 규모로 운영되며, 연간 정보시스템 발주 규모는 1000억원 정도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양한 프로젝트와 각종 유지보수에 지역기업이 참여할 여지가 커지면서 지역 ICT기업의 매출증대와 고용창출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뒤숭숭한 정국에도 매서운 이복현… "금융지주사 검사 결과 발표, 원칙대로 '매운맛' 유지"
2024-12-20 17:36:50[DD퇴근길] 우티, 티맵 손 떼고 우버 단독체제…넷플릭스에 올라탄 SBS
2024-12-20 17:11:09[2024 IT혁신상품] 실효성과 안정성 갖춘 제로트러스트 솔루션 'SGA ZTA'
2024-12-20 17:1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