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계열 알뜰폰, 우체국에 조건부 입점 가능할까?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알뜰폰 가입자가 500만을 돌파한 가운데 대기업 계열 알뜰폰 회사들의 우체국 입점이 가능할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우정사업본부는 지난 2013년 9월부터 우체국에서 중소 알뜰폰 사업자들의 판매를 지원해왔다. 처음 전국 226개 우체국에서 6개 사업자를 대상으로 시작해 지금은 10개 사업자가 651개 우체국에서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가입자 수는 올해 4월 21일까지 22만명으로 나타났다. 선불요금제 가입자에서 후불, 그리고 젊은층의 LTE 요금제로 점차 비중을 확대해가고 있다.
우체국 판매는 오프라인 유통점 부족으로 고민하던 알뜰폰 업계의 어려움을 상당부분 해소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지난달부터 신규 가입업무에서 기기변경, 서비스해지, 명의변경 등이 가능해졌고, 유심(USIM)칩도 현장에서 배부되고 있어 제대로 된 이동통신 대리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우체국 혜택은 고스란히 중소 알뜰폰 사업자에게 돌아가고 있다. CJ헬로비전, SK텔링크, KCT 등 대기업 계열 알뜰폰 회사들은 우체국 판매로부터 중소기업 보호명목으로 원천적으로 배제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알뜰폰 정책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기업 계열 알뜰폰 회사들도 우체국 혜택을 볼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대기업 계열이어도 오프라인 판매망이 없는 것은 중소업체나 매한가지이기 때문이다.
정부에서도 대기업 계열 알뜰폰의 조건부 입점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중소 알뜰폰 사업자들이 선후불 등 음성 요금제가 중심인 만큼, 데이터나 LTE 요금제를 대상으로 대기업 계열 알뜰폰 사업자의 입점을 허용할 경우 알뜰폰 확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문제는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반응이다. 그동안 미래창조과학부 국감 등에서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위원들은 공공연히 대기업 계열 알뜰폰에 우체국을 개방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중소 알뜰폰 업체의 생존의 위협을 받는다는 이유에서다. 참여연대 등 일부 시민단체들도 같은 이유로 대기업 계열의 알뜰폰 시장 진출을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 해지나 명의변경 등 CS(고객만족) 업무 등으로 제한 할 경우 중소업체 영역은 침범하지 않으면서도 알뜰폰 효과는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최근 개통한 알뜰폰 허브사이트와의 연계를 통해 정책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알뜰폰은 주로 온라인에서 가입한다. 온라인에서 가입하고 직접 물건을 받아 개통해야 한다. 유심(USIM)을 어떻게 장착하는지 잘 모르는 소비자도 적지 않다. 우체국에서 휴대폰을 받아 그 자리서 개통한다면 소비자 불편 해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명의변경 등의 업무도 대리점을 방문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지만 알뜰폰에서는 서류를 구비해 우편으로 보내야 하고, 업무처리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우체국에서 이런 업무를 처리하면 시간, 비용 단축에 소비자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대기업 계열 알뜰폰 회사의 한 임원은 "대기업 계열이라고 유통망이 다 갖춰진 것은 아니다. 오프라인 유통점 확대를 위해 이것저것 많이 시도해봤지만 여의치 않은 것이 현실이다. 우체국이 대기업 제품을 판매하는 것이 국민정서에 어긋난다면 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CS 업무만이라도 허용해준다면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적정한 수준의 CS 수수료를 내면 우체국 수익성 개선에도 도움이 되고 고객들은 보다 편하게 알뜰폰을 이용할 수 있다. 정책효과도 높아지는 만큼, 일석삼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미래부 관계자도 "대기업 계열의 우체국 입점 여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말할 수 있는 것은 없다"면서도 "중소기업과 공존하면서 정책효과를 높일 수 있다면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IT백과] 생성형AI의 진화 ‘AI 에이전트’, 기존 AI 비서와 뭐가 다를까?
2024-12-21 13:27:59[종합] AI 초격차 확보 공고히 한 오픈AI…12일간 여정 끝엔 ‘쩐의전쟁’ 남았다
2024-12-21 11:15:25오픈AI, o1보다 더 강력한 o3 예고…개발자·연구자 대상 사전 테스트 실시
2024-12-21 08:0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