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클라우드 기업 매출은 5238억원…SaaS 형태 가장 많아
18일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국내 클라우드 산업 실태 전반을 처음으로 종합적으로 조사한 ‘2014년 클라우드 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국내 클라우드 기업의 매출은 규모에 상관없이 큰 폭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그 가운데 중견기업들의 매출은 전년 대비 107% 증가,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또한 클라우드 공급기업 조사 대상 164개 기업 중 대부분인 88.4%(145개)가 중소 소프트웨어(SW) 기업이며, 국내 클라우드 공급기업은 SaaS(27.4%, 45개), IaaS (26.8%, 44개) 등의 순서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 기업의 전체 클라우드 인력은 79.2%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클라우드 도입 이유로는 민간 및 공공기관 모두 관리비용 절감, IT 자원 관리 효율화 및 자료유출방지 등이 주요 항목으로 꼽혔다.
민간 기업은 IaaS(31%), 클라우드 SW(29.6%), SaaS(25.4%)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 중이나, 공공은 IaaS(61.5%) 중심으로 클라우드를 활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입된 클라우드 솔루션의 외산 비중 조사 결과, 하드웨어(HW)의 외산 비중은 민간이 52%인데 반해 공공은 88.9%로 나타났으며 SW는 민간 47.4%, 공공 69.5%로 조사됐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국내 클라우드 산업은 초기 시장을 벗어나 본격적인 성장 단계로 진입하고 있으며, 향후 클라우드가 국내 ICT 산업을 이끌어가는 중요한 산업으로써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NIPA 측은 내다봤다.
그러나 국내 클라우드 솔루션의 도입 확산 등 국내 기업 중심의 생태계 형성을 위해서는 공공기관 클라우드 도입 확대(39.1%), 기술 개발 및 신규 서비스 모델 발굴(24.4%) 등 산업 활성화 및 경쟁력 확대 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이혁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진흥단장은 “이번 조사 결과가, 국내 ICT 기업의 클라우드 시장 진출, 학계 등의 클라우드 학술 연구 및 클라우드 수요기관의 도입시 기초 자료 등 국내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며 “지속적으로 클라우드 산업 실태조사를 실시해, 국내 클라우드 산업의 시계열 분석 및 전주기적 관리체계 등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포시에스 박미경 대표, 하이서울기업협회 제7대 협회장 취임
2025-02-24 19:53:21AI 자산관리 플랫폼 에임 "이용자 자산 1천억원 대로 늘려"
2025-02-24 19:27:09[현장] "MZ세대가 위험하다"…웹툰·웹소설 불법유통, 도박 및 성매매로 확산
2025-02-24 17:59:29[DD퇴근길] 5G, 진짜 가입자는?…정부, 단말기준 집계 방식 바꿀까
2025-02-24 17: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