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DR센터 성능 요건 강화된다…금감원 12월 중 DR 가이드라인 발표
11일 서울 플라자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 디지털데일리 주최 ‘2015년 전망, 금융IT 이노베이션 컨퍼런스’에서 ‘2015년 금융IT 감독방향과 핀테크 육성전략’을 주제로 발표한 금융감독원 정인화 IT감독실장은 “DR센터의 성능수준을 주 센터 피크타임의 80-90% 수준으로 구성하는 것을 내용으로 관련 규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권에선 그동안 몇 차례의 전산센터 사고를 겪은바 있다. 씨티은행의 전산센터 누수에 의한 금융거래 정지와 지난 5월 삼성IDC센터 화재로 인한 삼성카드 결제 중단 등 전산센터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우리나라 전체 금융망에 미치는 여파는 크다.
현재 금융사들은 DR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DR센터를 통한 사고복구 및 전자금융거래 대체 수준은 떨어지는 것으로 금융당국은 파악하고 있다. 문제는 금융사들이 DR센터에 대한 투자에 소극적이라는 점이다.
이에 대해 정 실장은 12월 안으로 DR센터에 대한 규제 및 가이드라인을 완성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가이드라인에는 복구시간과 원격지 문제 등 그동안 논의됐던 내용들이 다수 담길 것으로 전망된다.
정 실장은 “DR센터 복구시간은 현재 3시간으로 되어 있는데 국회에서는 2시간 정도를 얘기하고 있다. 1시간을 줄이기 위한 사회적 비용 문제를 고려해 3시간으로 결정하는 것이 현재 의견”이라고 전했다.
또 그는 “주센터와 DR센터간 거리 문제는 현재 대부분 금융사가 10km 정도의 이격거리를 두고 있는데 우리의 권장기준은 10km-30km 사이”라며 “다만 DR센터 신규 구축의 경우 주센터와 거리를 30km 떨어지게 하는 것을 권장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5000만원 탈취 신고, SKT 해킹 관련 가능성 적어…스미싱 피해사례일듯
2025-04-28 18:12:46강호동 회장 “농협 전계열사, 올해 손익목표 달성해야” 독려… 1분기 종합경영분석회의 개최
2025-04-28 18:03:43'SKT 해킹' 조사 결과 언제쯤? 개인정보위원장 "1년 이상 걸릴 수도"
2025-04-28 17:54:34국회 예결소위, '지역화폐 1조원' 추경안 민주당 주도로 통과… 국민의힘 반발
2025-04-28 17:42:33‘2025년 RE100 기술 전략 컨퍼런스’ 6월 10일 개최
2025-04-28 17:3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