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등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취약…‘브루트포스 공격’에 무방비
[디지털데일리 이유지기자] 다수의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성이 크게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 10개 클라우드 서비스 가운데 LG유플러스 ‘유플러스 박스’ 등 5개 서비스는 지난달 초 헐리우드 유명 연예인들의 누드사진을 유출한 애플 ‘아이클라우드’ 해킹에 사용된 ‘브루트포스 공격(Brute Force Key-Search Attack)’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장병완 의원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상위 클라우드 서비스 10개 중 5개가 지난달 아이클라우드 정보유출로 이어진 브루트포스 공격에 대한 보안 조치(그림자 암호 확인)가 미흡한 상황이다.
보안대비 수준이 양호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는 SK텔레콤과 네이버 등이다.
장병완 의원은 “‘브루트포스’에 의한 클라우드는 해킹은 사용자 인지도 어렵고 개인정보 대량 침해의 위험이 있다”며 “그럼에도 국내 50% 이상의 업체가 브루트포스 공격 방어같은 가장 기초적인 보안조차 하지 않은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다.
특히 장 의원은 “알파벳 여섯글자만으로 이뤄진 패스워드 조합은 일반 듀얼 프로세서 PC의 경우 30초 내 해킹이 가능하다”며 “브루트포스 공격에 대한 보안설정은 반드시 필요한데 이런 기본적인 보안조차 국내 대기업들이 지키고 있지 않아 문제가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장 의원은 앞으로 현재 클라우드 보안규정이 권고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점을 감안, 업계의 보안 수준을 강화하기 위해 향후 관련 법 개정을 통해 브루투포스 공격 방어를 강제하는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유지 기자>yjlee@ddaily.co.kr
"저커버그 1조원어치 팔았다"…美 CEO들, 1분기 자사주 대규모 매도
2025-04-21 18:06:55“K-미디어, 아직 글로벌 주류 아냐”...‘제2폭싹·오겜’ 계속 나오려면?
2025-04-21 18:05:56"가상자산 관련 임직원 사고예방" 등… 농협중앙회, 윤리경영위원회 개최
2025-04-21 17:46:00핑거, 세무대리인 플랫폼 '컴패스' 출시… "수임처 관리부터 업무자동화까지 한번에"
2025-04-21 17:28:45[DD퇴근길] "책임론 정면 돌파"…통신업계, 'AI 보이스피싱 탐지' 집중
2025-04-21 17: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