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지난 15일 제 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미래창조과학부 신설 등을 골자로 하는 정부조직개편안을 발표하면서 특히 행정안전부의 정보화 업무 이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신설되는 미래창조과학부내에서 정보통신기술(ICT) 정책을 총괄하도록 결정됨에 따라 ‘안전행정부’로 명칭을 변경되는 행정안전부의 정보화 업무가 축소될 것이라는 전망이 조심스레 점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관련 업계에서는 행안부의 ‘안전관리’ 기능이 강화되면서 정보화 관련 조직인 정보화전략실의 기능이 줄어드는 한편, 지난 2008년 정부조직개편 당시 정보통신부에서 넘어온 정보통합전산센터가 미래창조과학부로 편입되지 않겠냐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지난 2005년 11월 출범한 정부통합전산센터는 현재 대전과 광주 2개의 독립된 센터에서 50여개 중앙행정기관의 1000여 개 전자정부 업무시스템을 통합 관리, 운영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본격적으로 클라우드 기술을 적용해 시범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행보를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 8월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대선 출마 선언 후, 대전 정부통합전산센터에서 ‘정부 3.0’과 ‘클라우드’를 통해 정보공개 및 활용 규모를 확장하고 행정서비스를 업그레이드 하겠다는 첫 공약을 발표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또한 정부통합전산센터를 단계적으로 ‘국가 클라우드 컴퓨팅 센터’로 확대 개편한다는 계획도 발표한 만큼, 센터가 향후 새 정부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이와 함께 구체적으로 어떠한 형태가 될지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박 당선인은 부처 간 행정 정보 공유를 극대화하기 위해 세종시에 별도로 ‘정부지식통합센터’를 설립한다는 구상도 내놓은 바 있다.
물론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부처 내 세부 업무와 기능 배분 내용은 밝히지 않았기 때문에 향후 어떠한 모습이 될지는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