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윈도7 출시, 보안업계엔 부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7’ 출시로 IT업계가 술렁이고 있습니다. 소위 ‘윈도7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란 기대 때문입니다.
가장 혜택을 기대하는 쪽은 아마도 PC제조사들과 소프트웨어 유통업체들일 것입니다. 윈도7에 대한 시장 반응이 이전 OS인 ‘윈도비스타’ 때와는 달리 아주 긍정적이라 더욱 기대가 큰 것 같습니다.
윈도7이 출시되자 OS상에서 돌아가는 응용소프트웨어 업체들도 저마다 윈도7 지원에 나섰습니다.
보안업체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윈도를 기반으로 형성된 ‘IT생태계’ 속에 함께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보안 업체들은 몇 년 전부터 마이크로소프트가 새로운 OS나 인터넷브라우저(인터넷익스플로러)를 내놓을 때마다 속앓이를 하고 있습니다.
사업을 계속하려면 마이크로소프트가 새롭게 출시하는 OS를 지원할 수밖에 없지만 새로운 수익창출 기회가 생기는 긍정적인 면보다는 부담이 더 큰 탓입니다.
그 원인이 마이크로소프트에 있다기 보다는 우리나라 IT환경이 그렇게 만들고 있습니다. 윈도와 인터넷익스플로러에 크게 의존적인 인터넷 환경 문제는 차치하고,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는 보안제품 유지보수, 서비스 대가 문제를 더 거론하고 싶군요.
의무화된 인터넷서비스 보안, 당연시된 보안업계의 무상지원
보안업체들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새로운 OS, 새로운 브라우저가 출시되면 인터넷서비스 업체들이 실시하는 호환성 작업을 지원해야 합니다. 무상으로 말이지요. 대표적인 것이 정부기관과 금융사들이 제공하는 전자민원 등 전자정부서비스와 인터넷뱅킹입니다.
전자민원 등 전자정부서비스와 전자금융거래(인터넷뱅킹)서비스를 이용하려면 공인인증서, 해킹방지솔루션, 키보드보안 솔루션 등 다양한 보안 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의무죠.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는 사용자 컴퓨터에 자동으로 내려받게 돼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보안 제품들이 윈도7과 같은 새로운 OS를 지원하지 않으면 윈도7 PC 사용자는 이런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사용자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보안 기능과 방식을 대폭 변경한 ‘윈도비스타’를 출시하던 당시, 보안 제품의 호환성이 확보되지 않아 인터넷뱅킹, 전자민원서비스 등 각종 인터넷서비스가 중단돼 이슈화됐던 적이 있었지요.
당시 정부까지 나서 서비스 장애 대책회의까지 하며 호환성 작업을 완료할 것을 재촉했습니다.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 기업들이 자사의 인터넷 서비스 장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윈도7, 인터넷익스플로러 8 등 새로운 프로그램 출시 시점에 맞춰 보안업체들에게 요구하는 호환성 작업은 당연시 돼 있습니다.
이 때 보안업체들은 무상지원하게 됩니다. ‘유지보수’ 관점에서 당연히 지원해줘야 한다고 인식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보안업체들은 이 때마다 제품을 변경하거나 특정 기능을 추가해 개발하는 작업, 이로 인한 관리 부담이 과하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한 업체 임원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사업을 위해 출시하는 윈도 신제품 일정에 맞춰 원래 잡혀진 다른 작업일정은 제쳐두고 돈도 받지 못한 채 자체 인력과 비용을 써가면서 언제까지 지원해야 하는지 깜깜하다”고 이야기 할 정도입니다.
통상 보안제품 유지보수 요율은 1~2년 무상에 다음 해부터 7~8%, 많아야 10~12%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요. 때에 따라 5~6%, 그 이하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한 곳에 3000만원 규모의 제품을 팔았을 경우 연간 10%의 유지보수 요율을 적용해도 300만원인데, 이 금액으로는 개발자 한 명의 한 달간 유지비용도 안됩니다.
주기적으로 생기는 새로운 OS나 IE 지원 작업에 매달려 이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제품에 따라 다르지만 보안 제품은 이러한 작업이 아니더라도 그 특성상 새로운 위협이 나올 때마다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경우도 있고, 자체 취약점 제거나 기능 보완, 추가 등 버전 업그레이드를 위해 투입해야 하는 작업들이 있습니다.
지원하는 OS 버전이 늘어나면 개발이나 테스트가 완료되더라도 유지보수 등 관리 부담까지 늘어나게 됩니다.
유지보수 대가 현실화 필요성 다시 수면 위로
현실적으로 공공기관이나 기업 시스템에 적용되는 솔루션의 경우에는 유지보수 대가 외에는 달리 비용을 청구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결국 유지보수 요율이 현실화되면 업계의 불만도 일정수준 해소될 수 있는 문제입니다.
최근 윈도7 출시를 기점으로 해킹방지, 키보드보안 솔루션 등을 비롯한 전자거래서비스 보안 솔루션 업체들은 재계약시 유지보수 요율을 상향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다시 제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업체들이 개별적으로 고객들과 유지보수 요율을 올려 계약하기는 참 어렵습니다. 어렵고 불확실한 경제 상황에서는 더욱 그렇지요.
지금까지의 관행을 바꾸긴 더 어렵습니다.
한 문서보안(DRM) 업체에게 물어보니, 윈도7을 지원하는 새 제품이 출시되어도 유지보수 계약을 맺은 업체들에게는 무상으로 설치 제공해오고 있답니다.
성능이나 기능을 크게 업그레이드한 신제품을 내놔도 신규 고객을 확보하지 않는 이상 해당 제품군으로는 새로운 수익창출이 어렵다는 이야기입니다.
지금 쓰고 있는 프로그램을 오래 썼거나 더 성능 좋고 기능 많은 최신 프로그램을 쓰고 싶어서 돈을 주고 바꾸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뒤집어 보면 알아서 무상으로 주는데 당연히 돈을 주고 사지도 않겠지요.
유지보수 대가 현실화 문제는 보안업계 전반의 공감대가 이미 형성돼 있는 이슈입니다. 보안산업계의 숙원사업이 될 정도입니다.
보안업체들은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제품의 오류수정 등의 유지보수가 아니라 새로운 보안 위협이 등장할 때마다 패턴·시그니쳐 업데이트와 패치 개발, 사고복구 지원, 타 신제품과의 호환성해결 등을 벌이는 서비스 대가를 인정해야 한다고 꾸준히 요구해 왔습니다.
지식경제부 등 정부도 올해 산업육성 차원에서 공공분야에서만큼은 보안제품 유지보수 대가를 20~25% 수준으로 상향 조정하는 기준을 정하기 위해 추진했다 기획재정부의 반대로 백지화된 적도 있습니다.
해묵은 것 같은 유지보수 문제는 이슈화됐다가도 이처럼 늘 제자리인 것 같습니다. 그래도 올해 개정된 소프트웨어 대가기준으로 반보라도 나아갔다고 평가됩니다.
정부까지 나섰던 만큼 소기의 성과로 끝내지 말고 앞으로 진정한 성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노력해주길 바랍니다.
업체스스로도 기꺼이 서비스에 돈을 지불할 수 있도록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더 많은 땀을 흘려야 할 것입니다.
스트레스 완충자본 규제 유예… 한시름 놓은 은행권, 기업금융 괴삐죌까
2024-12-22 14:06:20심각한 노인빈곤율…"면세자에 대한 환급형 세액공제 도입해야"
2024-12-22 12:38:24올해 정보보호 투자액 2조원 돌파…공시 의무화 효과 '톡톡'
2024-12-22 12:00:00예상 빗나가지 않은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의 '물갈이'… 탄핵 정국속 '마이웨이'
2024-12-22 11:21:15[OTT레이더] '무한도전'부터 '해리포터'까지…연말 정주행 찬스
2024-12-22 11:1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