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 美생산시설 투자 검토…트럼프 관세정책 대응 '속도'
[디지털데일리 최규리기자] 아모레퍼시픽이 미국 내 생산기지 구축을 본격 검토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중 무역 정책이 재현될 가능성에 대비해 공급망을 다변화하려는 움직임이다.
15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김승환 아모레퍼시픽 대표는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고객사들과 비상계획을 논의 중이며, 향후 3~5년 안에 미국 내 물류 및 모듈형 제조시설에 대한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애초에는 실제 생산시설 구축까지 5~10년을 생각했지만, 최근의 정책 변화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 흐름을 감안하면 속도를 더 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단기적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미국 시장에 대한 아모레퍼시픽의 장기 비전과 의지는 변함없다"고 강조했다.
블룸버그는 아모레퍼시픽이 현재 한국과 중국에 제품 생산을 크게 의존하고 있어,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정책에 취약한 구조라고 지적했다. 실제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 당시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최대 145%의 관세를 부과했으며, 한국에도 25%의 상호관세를 예고한 바 있다. 다만, 당시 기본 관세 10%만 적용되며 90일 유예 조치를 취했다.
최근 K-팝, K-드라마 등 한류 확산과 함께 한국 화장품의 대미 수출은 프랑스를 제치고 세계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국내 화장품 업계는 미국 내 입지 강화를 위해 아마존, 코스트코 등 현지 유통 채널과의 제휴는 물론, 틱톡과 레딧 등 SNS를 통한 온라인 마케팅을 강화해왔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의 북미 시장 매출은 2021년 1018억원에서 지난해 5256억원으로 약 5배 성장하며 가시적 성과를 거뒀다.
AI로 가짜 쇼핑몰 뚝딱 만든다…"사기 수법 진화 중"
2025-04-16 20:00:00최민희 의원, 부총리급 '과기정통인공지능부' 격상 개정안 발의
2025-04-16 18:17:07뉴진스, 데뷔 1000일 자축했지만…법원 판단은 그대로
2025-04-16 18:11:42스타링크 韓 진출 임박…정부, 전파 혼간섭 방지 '총력'
2025-04-16 17:54:18[DD퇴근길] KT, 미디어사업 전략 수정…"공격적으로 AI 접목"
2025-04-16 16:5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