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환 "대출금리 내릴 때 됐다"… '이자장사' 논란 은행권 직격
[디지털데일리 강기훈 기자]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24일 "대출 금리도 가격이기에 시장원리가 작동해야 한다"며 "그런 측면에서 이제 기준금리 인하를 은행권이 반영할 때가 된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정부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은행권의 '이자장사 논란'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그러면서 "금융당국이 직접적으로 강하게 개입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면서도 "이제는 반영할 때가 됐다고 보고, 그런 차원에서 금융감독원이 금리 결정이 시장 원리에 따라 되고 있느냐 하는 부분을 점검한다"고 덧붙였다.
올해 가계대출 관리 계획과 관해선 오는 27일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통해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가계대출이 전체적으로 마이너스였고 이달들어 조금 늘고 있으나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라며 "현재까지의 기조를 유지하면서 상황을 더 지켜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금융기관이 지방 주택담보대출 취급을 확대할 시, 가계부채 관리상 인센티브를 부여하기로 한 것을 언급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올해 가계대출 증가가 어느 정도가 적절한지 은행권과 협의하는 과정에서 수도권보다는 지방으로 자금이 공급되는 것이 맞겠다는 판단에 따라 그런 조치를 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는 7월로 예정된 스트레스 총부채상환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시행과 관련해서도 언급했다.
김 위원장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완화해달라는 요구가 있었다"며 "이 부분은 정책의 신뢰성, 효과성 측면에서 봤을 때 적절한 조치는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아울러 "건설경기는 민생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고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정부의 대응이 필요하다"며 "금융이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는 있으나 금융을 풀어서 이 문제가 완전히 해소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현장] "MZ세대가 위험하다"…웹툰·웹소설 불법유통, 도박 및 성매매로 확산
2025-02-24 17:59:29[DD퇴근길] 5G, 진짜 가입자는?…정부, 단말기준 집계 방식 바꿀까
2025-02-24 17:19:32BNK금융, ING 은행과 MOU… 해상풍력, 선박금융 등 신사업 발굴 추진
2025-02-24 17:10:54리차드펀드 “美 달러국채, 대선 후 빠르게 순유입 증가”
2025-02-24 16:4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