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매매만으론 산업 활성화 한계… 스타트업의 법인계좌 허용도 필요”
[디지털데일리 최천욱 기자] 금융당국이 최근 발표한 ‘법인의 가상자산시장 참여’ 로드맵은 매매 관련 내용이 중심으로 매매만으로는 산업 활성화에 한계가 있다는 분석 보고서가 나와 시선을 끈다.
미국의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CETC(상품선물거래위원회)의장에 디지털자산 벤처캐피탈(VC)출신을 지명하면서 관련 산업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란 평가다.
16일 홍성욱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디지털자산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정부의 디지털자산 친화적 스탠스가 이어지고 있으며 디지털자산 시장은 소폭 반등하는 모습이라고 전했다.
홍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은 디지털자산 투자로 유명한 벤처캐피털 a16z에서 디지털자산 정책 업무를 총괄하던 브라이언 퀸텐즈를 CFTC 의장으로 지명했다”며, “그는 과거 CFTC 위원으로 재직할 당시에도 디지털자산 산업에 우호적이었다”고 말했다.
CFTC(상품선물거래위원회)는 SEC(증권거래위원회)와 함께 디지털자산 시장을 규율하는 양대 규제당국이다.
그는 “디지털자산 벤처캐피털 출신이 의장에 지명된 만큼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 “가상자산 산업 활성화 고려도 필요”
홍 연구원은 금융당국의 ‘법인의 가상자산시장 참여 로드맵’ 발표에 대해 매매 관련 내용도 중요하지만 산업 활성화를 위한 고려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로드맵은 가상자산 매매와 관련된 내용이 중심이 됐지만 매매만으로 산업이 활성화되는 것에는 한계 존재한다”며 “상당수의 상장기업의 경우 가상자산 사업보다는 매매에 관심이 높을 것으로 보이며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가상자산 스타트업에 대한 시의적절한 법인계좌 허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가상자산사업자(VASP) 라이선스 보유 기업부터라도 시범적으로 허용하는 방안이 존재해야 하고 자금세탁 우려의 경우 가상자산거래소 및 온체인 분석 기업 등과 협력해서 대응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로드맵에 따르면 2분기 이후 비영리법인이 거래소에서 가상자산 매도가 가능하고 하반기 이후에는 상장기업 및 전문투자자 등록 법인이 매매가 가능해진다. 일반 법인과 금융기관은 중장기 검토 예정이다.
[AX발전포럼] 이훈기 의원 "AI 패권 시대 도래, AX 포럼이 역할 해주길"
2025-02-19 21:15:39한국모바일결제산업협회, 신임 협회장에 김지형 SKT 본부장 선임
2025-02-19 21:13:08KB금융, 신임 사외이사 후보에 차은영·김선엽 추천…"정기 주주총회 결의 거쳐 선임 예정"
2025-02-19 18:07:27우리금융 경영실태평가 3등급 통보?…금감원·금융위 "사실무근"
2025-02-19 17:5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