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입법부의 디지털 혁신... 국회, 생성형 AI로 무장한다

이안나 기자
[ⓒ 국회사무처]
[ⓒ 국회사무처]

[디지털데일리 이안나기자]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와 삼성SDS가 국회 디지털전환을 이끈다. 양사는 컨소시엄을 구성해 ‘국회 빅데이터 플랫폼(AI국회) 구축 1단계 사업’을 수주했다고 12일 밝혔다. KT·메가존과의 입찰 경쟁에서 승리한 한컴-삼성SDS 컨소시엄은 1단계에서 약 13개월 동안 116억원 규모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된다.

현재 국회 정책 관련 데이터는 국회 내 각 기관과 외부 협력기관에 분산되어 있어 정책 입안 시 체계적인 분석이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각종 법률안과 정책 자료가 비정형 데이터 형태로 존재해 통합 분석이 어렵고, 기관별 상이한 데이터 표준으로 연계 활용도 쉽지 않았다.

국회의원과 보좌진은 국회사무처, 국회도서관, 국회예산정책처, 국회입법조사처 등에 산재된 방대한 자료를 일일이 검토해야 하며, 이로 인해 신속한 의사결정에 한계가 있었다.

이번 사업 핵심은 국가 중요시설인 국회 특성을 고려한 온프레미스 기반 생성형 AI 도입이다. 기존 상용 AI 서비스들이 클라우드 환경에서 운영되는 것과 달리, AI 국회 시스템은 폐쇄망에서 운영돼 민감한 입법정보 보안을 강화한다. 특히 검색증강생성(RAG) 기술을 적용해 환각 현상을 최소화하고 신뢰성 높은 결과물을 제공한다.

국회 도입되는 생성형AI는 방대한 의정활동 자료를 분석하고 가공하는 역할을 맡는다. 법률안 검토 시 관련 법령과 판례를 자동으로 찾아 분석하고, 국정감사 준비를 위한 참고자료를 추출하며 회의록이나 검토보고서 같은 문서 작성도 지원하게 된다.

시스템 보안성도 높인다. 이중 인증, 문서 암호화, 접근권한 관리 등 보안 체계를 갖추고, 모든 AI 처리 과정은 국회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이루어진다.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포함된 문서는 자동으로 식별되어 비식별 처리된다.

빅데이터 플랫폼은 정책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우선 국회 내 각 기관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통합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여기에 정부부처, 연구기관 등 외부 협약기관 데이터까지 연계해 통합 데이터레이크를 구축한다.

경제·복지·교육 등 분야별 대시보드를 통해 정책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빅데이터 분석 결과는 직관적인 시각화 솔루션을 통해 제공된다. 이를 통해 의원들은 정책 입안 시 객관적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이 가능해진다.

[ⓒ 국회사무처]
[ⓒ 국회사무처]

한컴 검색증강생성(RAG) 기반 AI 질의응답 솔루션인 ‘한컴피디아’와 삼성SDS 생성형 AI 서비스 플랫폼 ‘패브릭스’는 자연어 질의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즉시 찾아준다. 예를 들어 특정 법안 관련 검토 시 유사 법령, 판례, 해외 입법 사례 등을 자동으로 분석해 제공한다. 이러한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보고서 초안을 작성하거나 쟁점을 요약하는 등 실질적인 업무 지원이 가능하다.

업무 프로세스 혁신도 눈에 띈다. AI 비서(챗봇)가 도입되어 일상적인 의정활동을 보조하게 된다. ‘한컴어시스턴트’는 법률안 초안 작성, 국정감사 질의자료 준비, 보도자료 작성 등 국회 특화 문서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특히 문서작성 시 관련 법령과 규정을 자동으로 점검해 오류를 방지하고, 표준 서식을 준수하도록 지원한다.

시스템 구축은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진행된다. 1단계(2024~2025년)에서는 데이터 수집·분석·관계 설정 기초 작업과 함께 AI 지능화 기반을 마련한다. 특히 국회 특화 언어모델 개발과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 구축이 중점적으로 이뤄진다.

2단계(2026년)에서는 비정형 데이터 영역을 확장하고 전문가분석시스템을 도입한다. AI 학습시스템 구축을 통해 AI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는 데 주력한다. 3단계(2027년)에서는 생성형 AI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빅데이터 전문가 분석(노코딩) 환경을 구축해 일반 국민도 의정 데이터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국회사무처는 기대효과로 “‘전자국회’에서 ‘AI국회’로 입법·의정활동 지원 서비스 패러다임이 전환될 것”이라며 “국회 의정자료 AI전환으로 다양한 의정지원 서ᅟᅵᆸ스 창출 기반이 마련되며, 빅데이터 분석·생성형AI 등 최신기술이 적용된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객관적·합리적 정책·의사결정 등 입법활동을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안나 기자
anna@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