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삼성전기, 자율주행용 '초소형·고전압 MLCC' 세계 최초 개발 [소부장반차장]

배태용 기자
MLCC로 장식한 자동차모형. [ⓒ삼성전기]
MLCC로 장식한 자동차모형. [ⓒ삼성전기]

[디지털데일리 배태용 기자] 삼성전기가 자율주행차의 핵심 부품인 라이다(LiDAR) 시스템에 적용되는 초소형·고전압 MLCC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삼성전기는 5일, 1005 크기(가로 1.0mm, 세로 0.5mm)에 2.2uF(마이크로패럿) 용량과 10V(볼트) 고전압을 갖춘 MLCC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기존 6.3V 대비 약 60% 전압을 높인 이번 제품은 자동차 전자 부품 신뢰성 규격(AEC-Q200) 인증을 세계 최초로 획득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라이다(LiDAR)는 차량 주변 환경을 정밀하게 감지하고, 거리·위치 정보를 측정해 안전한 자율주행을 지원하는 필수 기술이다. 라이다 시스템이 mm 단위의 정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려면 안정적인 전원 공급과 정확한 신호 전달이 가능한 초소형·고용량 MLCC가 필수다.

특히 라이다 센서는 차량 외부에 장착되기 때문에 온도, 습기, 충격 등 다양한 환경 변화에도 견딜 수 있는 높은 신뢰성의 MLCC가 요구된다. 이번에 삼성전기가 개발한 MLCC는 기존 제품 대비 고전압과 용량을 동시에 만족하는 업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MLCC는 고전압과 고용량을 동시에 구현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 고전압을 구현하려면 전기를 저장하는 유전체를 두껍게 만들어야 하지만, 이 경우 내부 유전층 수가 줄어 용량이 낮아지는 한계가 존재한다.

삼성전기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독자적인 첨가제를 개발, 유전체 내 빈 공간을 최소화하는 신공법을 적용해 높은 전압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기존 동일 크기(1005) 제품 대비 더 높은 전압을 지원하면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삼성전기는 이번에 개발한 MLCC를 자율주행 시스템뿐만 아니라 차량 내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바디(Body), 섀시(Chassis),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등 다양한 전장 응용처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최재열 삼성전기 컴포넌트솔루션사업부장 부사장은 "자동차의 전장화가 가속화되면서 고성능·고신뢰성 MLCC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삼성전기는 MLCC의 재료·설비·공법 등 요소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고부가가치 제품을 중심으로 전장 시장에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태용 기자
tybae@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