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하는 챗GPT 어쩌나…과기정통부, 'AI 윤리정책' 포럼 출범
이번 포럼은 챗GPT 등 초거대·생성형 AI 확산에 대응해 AI 윤리와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2기 AI 윤리정책 포럼에선 지난해 의견수렴을 거친 ‘AI 윤리기준 실천을 위한 자율점검표(안)과 신뢰할 수 있는 AI 개발안내서(안)(일반, 공공사회,의료, 자율주행 분야)’를 공개했다.
초거대·생성형 AI의 확산에 따라 거짓정보의 확산, 알고리즘의 편향성, 사생활 침해 등 부정적 영향에 대한 각종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AI 윤리·신뢰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정책 방향에 관한 종합토론을 진행했다.
향후 지속적인 포럼을 통해 관련 기술 및 윤리 이슈에 대한 국내·외 동향을 살피고 윤리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초거대·생성형 AI이 개발·운영될 수 있도록 균형잡힌 시각에서 우리나라 AI 윤리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신뢰성 검·인증 체계 구축 등 주요 관련 정책과제에 대한 의견수렴을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김명주 서울여대 정보보호학과 교수가 포럼위원장을 맡고 AI, 철학, 교육, 법, 행정 등 분야별 전문가를 비롯해 AI 산업계 종사자까지 포함해 총 30명이 포럼위원으로 활동한다.
포럼은 운영의 효율성과 논의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3개의 전문분과위원회로 구성해 AI 윤리체계 확산(윤리분과), AI 신뢰성 확보 기술 기반 마련(기술분과), AI 리터러시 및 윤리교육 강화(교육분과)의 큰 주제 안에서 세부적인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엄열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초거대·생성형 AI가 산업과 우리 일상 속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무엇보다도 기술의 개발부터 활용의 전 단계에서 사회적 신뢰를 확보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며 “포럼이 윤리와 신뢰성을 확산해 관련 기술·산업 기반을 조성하는데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유료방송-FAST 新 협력모델 제안…“통합 에코시스템 구축 필요”
2025-04-19 17:37:27[AI시대, ICT 정책은②] 네트워크 준비지수 5위인데…우리 정부는 준비됐나
2025-04-19 08:00:00구글, 美 ‘반독점’ 재판서 유죄 판결… '사실상 해체' 위기 직면
2025-04-18 18:04:23[DD퇴근길] 이마트 옆 다이소 옆 이케아…서울 '강동' 격전지로
2025-04-18 17:4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