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비즈니스

홈쇼핑 채널 구성 두고 사업자간 이해관계 첨예…7월 개편안 나올까

이안나

- 정부 가이드라인 두고 홈쇼핑·T커머스·IPTV 등 의견 모두 달라

[디지털데일리 이안나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유료방송 저번호대역에 홈쇼핑채널 숫자를 제한하는 안을 제시했지만 인터넷TV(IPTV)와 홈쇼핑·데이터 홈쇼핑 등 사업자들마다 온도차가 극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7월 공청회에서 협의안이 도출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28일 과기정통부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정부는 TV홈쇼핑과 데이터홈쇼핑(T커머스) 채널을 제한하는 안을 제시한 후 사업자들 의견을 수렴했다. ▲0번부터 30번 이하 채널에서 홈쇼핑 채널 수를 12개 이하로 구성 ▲데이터홈쇼핑 단독 사업자 홈쇼핑 채널은 15번 이후로 구성 ▲TV·데이터 홈쇼핑 겸업 사업자 홈쇼핑 채널은 30번 이내에 1개 이하로 구성하는 내용이다.

현재 홈쇼핑 채널은 TV홈쇼핑 7개, T커머스 10개로 총 17개지만 사업자는 12곳이다. CJ·GS·현대·롯데·NS 등 5개 기업은 홈쇼핑과 T커머스를 동시에 운영하고 있다. 정부가 제시한 안에 따르면 이러한 겸용 T커머스 채널은 30~40번대에 위치하게 된다.

홈쇼핑 채널 구성안이 업계 현안으로 떠오른 건 유료방송 시장이 정체되면서 플랫폼 사업자와 홈쇼핑 간 송출수수료 갈등이 심화됐기 때문. 이에 대한 조정 차원과 함께 지나치게 많은 홈쇼핑 채널이 시청자들에게 불편함을 준다는 지적이 계속되자 정부가 개입하게 됐다.

홈쇼핑 사업자들은 정부 가이드라인에 크게 반발하지 않는 분위기다. 정부가 제시한 안은 실상 홈쇼핑 및 데이터홈쇼핑 업체들이 현재 입점해있는 번호대와 유사하다. 가이드라인을 따른다 해도 급격하게 바뀔 가능성은 없어 크게 불리하게 작용하는 부분이 없다는 설명이다. 더군다나 T커머스 업체들을 15번 이후 권역으로 정해둔다면 TV홈쇼핑 진입장벽을 쌓는 꼴이니 오히려 현재보다 더 유리해질 수도 있다.

T커머스 상위 업체들은 SK와 KT, 신세계 등 대기업과 연관돼있다. 특히 유료방송을 IPTV업체들이 독점하고 있는 상태에선 KT 자회사 KTH와 SK텔레콤 자회사 SK스토아가 홈쇼핑 업체들에게 향후 위협요소가 될 수 있다. 몸집을 키워 황금채널로 진입을 시도할 때 홈쇼핑 업체들과의 경쟁을 피할 수 없다.

즉 홈쇼핑과 T커머스 업체들은 송출수수료가 과다하게 책정돼있어 이를 정부가 어느 정도 개입해 조치를 취하는데는 동의하고 있지만 그 방법에 대해선 의견을 달리하고 있는 셈이다.

홈쇼핑 업계 관계자는 “송출수수료가 급격하게 올랐을 때를 되짚어보면 T커머스업체가 황금채널로 진입하기 위해 홈쇼핑과 경쟁했을 때”라며 “권역을 나눠놓으면 채널 경쟁이나 송출수수료가 급변하는 현상은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반면 T커머스 업체들은 향후 성장에 걸림돌이 될만한 요인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T커머스 업계 관계자는 “데이터홈쇼핑은 황금채널 진출하고 싶어도 당장 볼륨이 작고 여력이 없는 상황인데 그렇다고 강제적으로 T커머스는 15번 이후로 강제해 진입 자체를 막아버리는 건 불합리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단 공영홈쇼핑은 공적 판로 역할을 하는 만큼 추가 의견을 내놓고 있다. 공영홈쇼핑은 정부가 어떤 안을 내놓더라도 중소기업 상품 편성 비중 100%와 판매수수료 20%로 고정돼있다. 전략에 따라 이러한 조건을 유동적으로 바꿀 수 있는 다른 홈쇼핑사와 동일하게 채널번호나 송출수수료 경쟁을 하기엔 어려움이 크다는 입장이다.

공영홈쇼핑 관계자는 “공영홈쇼핑 가치나 설립 취지에 맞게 운영하기 위해선 원칙들이 잘 지켜질 수 있도록 별도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유료방송 사업자들은 채널 구성 및 송출수수료 조정에 대해 정부가 개입하는 건 부적절하다는 입장이다. 홈쇼핑 사업자 수 증가 및 채널 위치에 따른 경제적 효과에 따른 시장의 자연스러운 현상인데 정부가 새 규칙을 만들 경우 새로운 갈등을 촉발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사업자 간 각자 목소리가 달라 정부가 제시한 안은 우선 보류 후 다시 새롭게 논의해보기로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사업자 협의가 이뤄져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우선 의견 수렴을 했고 다양한 의견이 있어서 향후 조정해나갈 계획”이라며 “7월 유료방송 관련 공청회 때 포함해 다룰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안나 기자>anna@ddaily.co.kr

이안나
anna@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