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경제 2019] SaaS 기반 인사시스템이 필요한 이유 …워크데이가 제시한 혁신 전략
글로벌IT 기업인 워크데이가 제시한 혁신적인 조직및 인사관리 전략은 차별화된 혁신성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워크데이의 이승희 매니저<사진>는 24일 <디지털데일리> 주최로 명동 전국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구독형 업무혁신의 미래, 리워크 전략-SaaS 2019' 컨퍼런스에서 기조 발표자로 나와 “전체 구성원 가운데 60% 이상이 밀레니얼 세대인 조직이 늘고 있다”며 “이들이 원하는 것은 개인화된 인사 서비스로,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HCM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매니저는 “개인화된 인사 서비스를 위한 기업 인사팀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지만 기존의 시스템으로는 역부족”이라며 “비용보다는 이익이 더 크기 때문에 기업들이 클라우드, SaaS 기반의 HCM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HCM 시스템 사용 트렌드는 변화하고 있다. 워크데이에 따르면, 오는 2020년 기업들이 사용하는 인사시스템 62%가 SaaS 기반일 것으로 전망된다.
2005년 설립된 워크데이는 인사 솔루션, 인력계획 솔루션, 예산 계획 솔루션 등 전반적인 HCM을 제공한다. 워크데이 플랫폼에 머신러닝, 인공지능(AI), 블록체인, 챗봇 등의 신기술을 탑재했다. 에너지, 화학, 기술, 컨설팅, 금융, 커뮤니케이션 등 전 산업군에 서비스하고 있다.
워크데이는 기업의 인사팀이 본연의 핵심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한다. 인사 담당자가 인사 시스템 등을 곧바로 수정할 수 있는 500가지의 업무프로세스를 내장했다. 특정 부서에서도 시스템 내 개별적인 프로세스를 설정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모바일 퍼스트’ 전략으로, PC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기에서도 동일한 사용 경험을 제공한다.
고객사례 소개도 이어졌다. 미국의 뱅크오브아메리카는 ‘디지털뱅크’를 본격 추진하면서 지난 2012년 워크데이를 도입했다. 현재 전체 매출 가운데 30%가 디지털 프로덕트에서 발생하는 만큼, 상당부분 무인화가 진행됐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워크데이를 통해 타 은행의 벤치마크 데이터를 활용, 조직 통폐합을 진행했다. 이후 새로운 스킬 육성, 인사업무 자동화 등을 도입했다.
의료기기 업체 애봇도 워크데이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곳 중 하나다. 의료기기 기업들은 인수합병이 활발하다. 애봇은 입수합병 전, 인재 가용성을 파악하고 인수하고 싶은 회사에 인사정보를 요청했다. 이를 통해 백엔드 시스템에 시뮬레이션도 실시했다.
이 매니저는 “기업들이 단일 플랫폼을 통해 유연한 조직, 업무방식 변화를 할 수 있도록 워크데이만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홍하나 기자>hhn0626@ddaily.co.kr
포시에스 박미경 대표, 하이서울기업협회 제7대 협회장 취임
2025-02-24 19:53:21AI 자산관리 플랫폼 에임 "이용자 자산 1천억원 대로 늘려"
2025-02-24 19:27:09[현장] "MZ세대가 위험하다"…웹툰·웹소설 불법유통, 도박 및 성매매로 확산
2025-02-24 17:59:29[DD퇴근길] 5G, 진짜 가입자는?…정부, 단말기준 집계 방식 바꿀까
2025-02-24 17: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