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호 예산 편성 기업, 절반도 안 돼”
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가 발표한 ‘2017년 정보보호 실태조사’에 따르면 정보보호 예산을 편성한 기업은 전체의 48.1%에 머물렀다. 이는 전년대비 15.6%p 증가한 수치다. IT예산 중 정보보호 예산을 5% 이상 편성한 기업은 2.2%에 불과했지만, 전년에는 1.1%로 2배가량 늘어난 규모다.
과기정통부부가 매년 실시하는 정보보호 실태조사는 종사자 1인 이상 9000개 기업과 개인 400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로 진행된다.
기업부문 조사결과에서 정보보호(개인정보보호) 전략 수립은 15.2%, 전담조직 운영은 9.9%로 각각 1.9%p, 1.1%p 감소했다. 중장기적 정보보호 활동을 위한 대비나 투자는 미흡한 상황이다.
반면 ▲정보보호 제품 이용 94.9%(5.1%p↑) ▲정보보호 서비스 이용 48.5%(8%p↑) ▲보안점검 64.7%(9.2%p↑) ▲백업 실시 52.5%(14.2%p↑)로 늘어나면서 실질적인 정보보호 조치는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이에 전체적인 침해사고 경험은 2.2%로 전년보다 0.9%p 줄었는데, 랜섬웨어로 인한 피해비중은 25.5%로 6.8%p 늘어나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개인부문에서는 94.2%가 정보보호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정보보호를 위한 제품 이용은 87.4%, 중요 데이터 백업은 44.4%로 각각 1.6%p, 9.4%p 증가했다.
악성코드감염·개인정보유출 및 사생활 침해 등의 침해사고 경험은 10.3%로 7.1%p 하락했으며, 보안 소프트웨어 설치·비밀번호 변경 등 침해사고 대응활동은 90.8%, 4.6%p 늘어났다.
또한, 빅데이터·인공지능 서비스 확산 때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이나 불법 수집에 의한 침해, 사물인터넷(IoT)은 관리 취약점 증가를 가장 많이 우려했다. 간편결제의 경우 일반결제 대비 보안성이 높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송정수 과기정통부 정보보호정책관은 “IoT, 클라우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등이 확산되면서 기업과 개인의 정보유출과 사생활 침해에 대한 우려도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해 올해에는 스마트홈·가전, 교통, 의료 등의 사이버 사고에 대비해 생활속 정보통신기술(ICT) 안전 대책을 준비 중”이라고 강조했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2025 대선] 전·현직 금융인 임원 157인, 이재명 후보 지지 선언
2025-05-13 15:06:08[대선 2025] AI냐 규제개혁이냐…1순위 공약으로 본 후보별 국정 전략
2025-05-13 14:56:52AWS “韓기업 63%가 CAIO 뒀다”…생성형AI, 보안보다 ‘우선 투자’
2025-05-13 14:55:27이노그리드, 누적 특허 100건 돌파…“클라우드 전문기업 입증”
2025-05-13 14:44:09“AI, 어떻게 도입할까?”…메가존클라우드, ‘CxO 서밋’서 AI 실전사례 공유
2025-05-13 14:4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