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사태에 덤덤한 보험사들…PF 도미노 위기는 우려
-보험사 태영 PF, 100% 보증 담보에 선순위채권으로 구성
-"대출금액 미미해 보수적으로 가정해도 타격 없을 전망"
-다만 전체적인 연쇄적 부동산 PF 시장 부실화는 우려 요소
[디지털데일리 권유승 기자]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을 신청한 태영건설에 제 2금융권 중 가장 많은 대출을 실행했던 보험업계가 외부의 위기감에 비해 다소 덤덤한 모습이다.
태영건설에 빌려준 금액이 대부분 담보가 확실한 건이거나 선순위채권으로 이뤄져 있어 부실로 인한 영향이 제한적인 데다, 해당 대출 규모 또한 자산대비 미미한 수준이어서 태영건설이 파산에 이르더라도 그에 따른 실질적인 타격감이 크지 않을 것이란 이유에서다.
다만 이번 태영건설 사태에 따른 후폭풍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의 부실이 도미노처럼 연쇄적으로 확산할 경우엔 보험사도 그로인한 파장이 적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유동성 위기를 겪는 태영건설이 워크아웃 대신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돌입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태영건설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전날 채권자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한 가운데, 워크아웃을 위한 태영건설이 채권단에 제출한 자구책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서다.
태영건설의 부실화 가능성이 심화되면서 태영건설에 부동산 관련 대출을 진행한 제2금융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제2금융권의 경우 제1금융권 보다 상대적으로 자본력이 약하고 연체율이 높아 태영건설 사태에 따른 영향이 적지 않을 것이란 분석에서다.
◆보험업계에 쏠리는 우려의 시선…보험사들 "영향 제한적"
특히 제2금융권 중 자산규모가 가장 큰 보험업계를 바라보는 우려의 시선이 적지 않다. 보험업계가 태영건설에 빌려준 금액만 20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생명 845억원, NH농협손해보험 333억원, 흥국생명 268억원, IBK연금보험 268억원, 한화손해보험 250억원, 푸본현대생명 250억원, NH농협생명 148억원 등이다.
그러나 보험업계는 우려의 시선과는 달리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보증이 확실하거나 선순위채권으로 이뤄져 있어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적을 것이란 설명이다.
실제 보험사 중 태영건설 쪽에 가장 많은 금액을 내준 한화생명도 관련해서 100% 보증을 담보 받고 있는 상황이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태영건설의 자회사인 전주에코시티에 실행한 845억원(9월말 기준)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보증서를 100% 담보로 하는 건"이라며 "또한 현재 전주 에코시티는 준공 이후 정상 임대운영 중으로 임대율 100%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즉 태영건설이 도산하더라도 한화생명에 미치는 영향은 없을 것이란 말이다.
이 외 흥국생명, NH농협생명 등도 HUG를 통한 100% 보증을 담보로 둔 상태다.
자산규모에 비해 대출금액이 미미하다는 점도 보험사들이 태연한 모습을 보이는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한화생명의 경우 2022년 기준 자산금액이 161조원을 상회한다. 자산금액 대비 이번 태영건설 대출금액의 비율은 0.05% 수준이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보험사들이 태영건설에 내준 금액은 대부분 100% 보증으로 이뤄져 있어 돈을 잃을 가능성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최악의 경우 돈을 못 받는 상황을 보수적으로 가정하더라도 그 액수가 상당히 미미하기 때문에 재무건전성에 큰 타격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보험업계 일각에선 이번 태영건설 사태가 전체적인 부동산 PF 시장의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은 우려 요소로 꼽고 있다.
당장 태영건설로 인한 영향은 크지 않더라도, 부동산 PF 시장이 연쇄적으로 부실화될 경우 그로 인한 피해는 불가피 할 것이란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말 기준 보험사 부동산 PF 대출잔액은 43조3000억원에 달한다. 같은 기간 제1금융권인 은행권(44조2000억원)과 1조원의 차이도 나지 않았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업계 특성상 대부분의 보험사들이 PF 대출 등을 통해 자금을 운용하고 있다"면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보수적으로 접근하지만서도 전체적인 시장이 부실화할 경우엔 피해를 입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영풍, 고려아연으로부터 받은 배당금만 1조 1300억원
2024-11-24 14:28:03은행권 대출 민원 작년 대비 '껑충'… 금리인하기인데 왜?
2024-11-24 14:14:19[OTT레이더] 협박전화 한 통에…넷플릭스·웨이브 '지금 거신 전화는'
2024-11-24 13:04:04[DD 주간브리핑] 이재용 삼성전자 경영권 항소심…KBS 사장 후보자 추천과정 현장검증
2024-11-24 13:01:33온라인 금융상품, 다이내믹 프라이싱(DP) 시대 오나?
2024-11-24 12:2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