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리스크’ 더 커졌는데… 포스코인터, 장밋빛 청사진만
- 미얀마 군부 '돈줄' 의심되는 가스전 등 에너지 사업… 국제사회 감시·비판 커져
- 미국과 EU, 고강도 제재 가능성 상존… 포스코인터내셔널, 투자자 보호하려면 미얀마 리스크 명시해야
[디지털데일리 정혜원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대표 주시보)이 4일 공시를 통해 액화천연가스(LNG) 공급망에 집중투자해 글로벌 에너지 전문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계획을 공시했다.
2023년부터 2025년까지 3년간 총 3조8000억원 규모 투자를 진행한다는 것이 골자다. 세부적으로 보면 ▲LNG 터미널 건설 1조6000억원 ▲천연가스 생산 확대 1조3000억원 ▲LNG 발전 7000억원 ▲환경에너지 2000억원 등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이날 ‘천연가스 생산 확대’와 관련 ▲호주 세넥스에너지(SENEX Energy) 육상광구개발 ▲미얀마 마하가스전 개발 ▲동남아시아 신규 탐사 등에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날 투자 계획에 언급된 ‘미얀마 마하가스전 개발’과 관련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미얀마 리스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별도로 제공하지는 않았다. 물론 반드시 설명할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최근까지의 미얀마 정세를 고려했다면 투자자 보호를 위해 필요했다는 지적이다.
앞서 2021년2월, 미얀마에서는 군부 세력이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은 뒤로 현재까지 대규모 민간인 피해가 뒤따르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국제사회는 미얀마 군부 정권의 '돈줄'이 가스전 개발 등을 비롯한 에너지 사업이라고 의심하면서 감시망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실(OFAC), 연방금융감독청 등 관련 기관을 통해 국제자금세탁(AML) 감시망을 활용해 미얀마 군부 정권으로 흘러 들어가는 자금을 추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지난해 쿠테타 직후, 곧바로 10여명의 미얀마 군부 실권자를 블랙리스트에 올려 자금거래를 즉시 차단한 바 있다.
◆ 더 커진 '미얀마 국가 리스크'… 포스코인터내셔널, 투자 안전성 제대로 고려했나
무엇보다 미얀마 군부 정권을 유지하는 ‘뒷배’가 중국이라는 의심이 커짐에 따라 미국의 감시망이 더 강화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실제로 국제기구인 OECD 산하의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는 지난달 20~21일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총회에서 미얀마를 '조치를 요하는 고위험 국가'로 분류하고, '강화된 고객확인'(EDD)'요건을 부여했다.
이는 국제 사회가 미얀마를 사실상 이란, 북한과 동급으로 불량국가로 지정한 것이다.
이는 곧 미얀마 현지 사업 및 현지 기업과의 거래가 ‘언제 터질지 모르는 규제 시한폭탄’으로서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임을 뜻한다.
'강화된 고객확인(EDD)'은 해당 국가와의 거래시 강화된 고객확인 등 특별한 주의가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정의된다.
그럼에도 이날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밝힌 에너지개발 투자 계획 공시에는 별도로 이러한 미얀마 국가 리스크에 대한 언급은 전혀없다.
결과적으로 투자자들에게 미얀마 리스크에 대한 정보없이 장밋빛 청사진만 제시한 셈이다.
가스전 사업과 관련해 만에 하나라도 미얀마 군부와 불미스러운 오해가 불거질 경우, 이는 포스코인터내셔널 뿐만 아니라 포스코그룹 전체의 대외 신인도가 막대한 악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미얀마 가스전’ 사업 확대에 막대한 자금 투자
현재 금감원 전자공시스템을 통해 공개된 포스코인터내셔널의 미얀마 가스전 관련 내용은 긍정적인 내용 일색이다.
미얀마 가스전과 관련해, 회사측은 ‘미얀마 가스전은 2013년 7월부터 가스판매를 개시한 이후 2014년 12월부터는 일일 평균 5억 입방피트의 가스를 생산, 판매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동안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투자한 ‘미얀마 가스전’ 사업 규모는 적지않은 수준이다. 앞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 2008년 미얀마의 쉐, 쉐퓨, 미야 등 3개의 가스전 개발과 관련, 중국의 ‘CNUOC’와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2013년 7월부터 향후 30년간 가스의 생산 및 판매와 관련한 내용이다.
미얀마 가스전 사업을 위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컨소시엄을 구성했는데 여기에 참여하는 각 회사별 지분 참여비율은 ▲포스코인터내셔널 51% ▲ONGC 17% ▲MOGE 15% ▲GAIL 8.5% ▲한국가스공사 8.5%이다.
특히 이 컨소시엄에서 주목할 만한 업체는 미얀마의 국영석유회사인 ‘MOGE’이다. 미얀마의 에너지개발 사업은 국영석유회사가 반드시 참여하는 구조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컨소시엄과 관련 가장 최근에 결정된 투자결정은 3657억원 규모의 ‘미얀마 해상 A-1/A-3 광구 3단계 개발’사업으로, 2019년 9월부터 오는 2024년 말까지 저압 가스압축 플랫폼을 설치하는 사업이다.
앞서 2017년 8월~2022년 12월까지 진행되는 미얀마 가스전 2단계 개발사업에선 컨소시엄이 5117억원의 투자금액을 결정한 바 있다.
◆정작 해외 주요 에너지 기업들은 미얀마 속속 탈출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미얀마의 가스전 사업 규모를 키우고 있지만 정작 주요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은 이와 대조적으로 미얀마에서 탈출하고 있다는 점에 시선이 쏠린다.
지난 10월5일, 로이터통신은 미얀마 양곤 인근에서 석유 수입터미널을 운영하는 푸마에너지가 미얀마에서 철수한다고 보도했다. 푸마에너지는 석유사업체로 상품중개업체인 트라피규라(Trafigura)가 운영해오다 철수를 결정한 것이다.
이 뿐만 아니다. 외신 및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앞서 올해 2월에는 프랑스와 미국의 거대 에너지 기업 토탈에너지스와 셰브런이 미얀마의 쿠데타 이후 미얀마 내 인권 악화 등을 이유로 현지 사업을 접었다. 호주 에너지기업 우드사이드도 미얀마에서 철수했다.
또 말레이시아의 ‘페트로나스’, 태국의 국영 석유업체인 ‘PTTEP’, 일본 컨소시엄인 JX미얀마석유개발도 속속 미얀마 가스전 개발 사업에서 철수했다.
이같은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의 철수는 그만큼 미얀마 에너지 사업이 가지는 위험성이 이전보다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신들은 미얀마의 에너지 사업이 미얀마 군부의 ‘돈줄’로 꼽혀왔으며, 미얀마 외화 수입의 약 50%는 가스전 수익금에서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국제 인권단체들은 원유 및 가스전 사업에서 나오는 막대한 수익금이 군부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며 해외 기업들에 군부와의 사업을 중단하라고 촉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이에 대해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외국기업과 여러 주체가 함께 계약을 맺었기 때문에 사업 철수 및 계획 철회가 어렵다"며 "미얀마 군부로 개발 수익이 전달되고 있지는 않다"고 설명했다.
도그스(DOGS), '아이폰 16 프로' 등 풍성한 겨울 어드벤처 이벤트 개최
2024-12-20 16:43:06펜타곤 게임즈(Pentagon Games),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에 '$PEN' 상장
2024-12-20 16:40:51‘민원 마스터’ AI 떠오른다…디플정위 ‘초거대AI 과제’ 활약상은?
2024-12-20 16:17:32MBK파트너스, 핵심 경영진 국적 논란 지속… 고려아연 M&A 향배, 막판 변수되나
2024-12-20 16:1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