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칼럼

[취재수첩] 틱톡은 어디로 향하고 있나

이종현
[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팔라고 하는 미국, 안 팔겠다고 하는 바이트댄스, 사겠다는 마이크로소프트(MS), 중계 수수료 내라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매각 대신 기술 파트너로 떠오른 오라클.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내 틱톡 사용 금지 고려’가 현실화된 이후 틱톡의 상황은 그야말로 혼돈이다.

이번 틱톡 사건은 ‘화웨이 퇴출’과 닮은꼴이다. 틱톡이 미국인의 개인정보를 중국의 서버로 보내고 있으며, 중국 정보가 해당 정보를 볼 수 있다는 개인정보보호가 명분이다.

실제 틱톡이 미국인의 정보를 중국 정부에 넘겼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하지만 중국 기업·조직·시민은 중국 정부의 정보 작업에 지원·협조·협력토록 하는 ‘국가정보법’, ‘반간첩법’, ‘반테러법’ 등은 미국의 주장에 힘을 실어준다.

틱톡에 대한 조치가 정당하느냐에 대해서는 차치하고, 이번 사건이 더 큰 주목을 받게 된 데는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멘트가 한몫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을 인수하는 미국 기업이 정부에게 중계 수수료(Key Money)를 지불해야 한다고 말했고, 이는 전 세계적인 관심을 끌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심심찮게 등장하는 틱톡 퇴출에 대한 속설도 있다. 틱톡 이용자들에게 선거 유세를 조직적으로 방해받은 트럼프 대통령의 분풀이라는, 다소 억측에 가까운 주장이다.

지난 6월 미국 오클라호마주에서 열린 트럼프 대통령의 선거 유세에 100만명 이상이 참석 신청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이를 언급한 바 있다. 하지만 이는 틱톡 이용자들의 ‘노쇼’였다. 1만920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에 6200여명만 참석해 체면을 구긴 것. 당시 미국 민주당 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틱톡 이용자에게 한 방 맞았다”고 표현했다.

틱톡 이슈는 ‘누가 사느냐’에서 이제는 ‘누가 더 지분을 많이 가지느냐’로 주제가 옮겨가며 초읽기에 들어갔다. 오는 20일(현지시각)부터 미국 내 틱톡 사업에 대한 법적 제재가 시작되는 만큼 그 사이에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돼 귀추가 주목된다.

<이종현 기자>bell@ddaily.co.kr
이종현
bell@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