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실행 조직이 부실한 금융회사는 결코 디지털 경쟁력에서 우위에 설 수 없다. 주요 금융회사들은 올해 신입 및 경력사원을 모집하면서 디지털 및 IT 관련자에 각별히 신경을 쓰고 있다. 효과는 의문이지만 비 IT부서 현업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교육과정도 별도로 마련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전문 분야엔 외부 전문가들이 속속 영입되고 있다. 금융권이 디지털금융과 관련한 인력풀을 적극적으로 확장하는 것은 ‘금융회사가 IT회사로 전환’되는 상징적인 장면이다.
하지만 이같은 외부 전문인력 충원만으로 강한 IT조직을 만들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디지털 및 IT인력의 확보가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닐 뿐더러 이를 조직화하고 역량화하는데는 사실 꽤 오랜기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체계적이고 빈틈없은 IT거버넌스 확립은 하루 아침에 뚝딱 완성되지 않는다. CIO, CDO의 역할도 당연히 재설정돼야한다.
외형적으론 지난 수년간 디지털금융과 IT전략이 매우 중요해졌다. 하지만 정작 금융권의 IT인력은 늘어나지 않았다.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한국은행에 금융정보화 현황 자료(2016년 기준)에 따르면, 국내 153개 금융기관의 IT인력은 총 9,182명으로 전년말 대비 0.1% 감소했다. IT인력중 정보보호관리 인력은 3.0% 증가했지만 전년(4.9%)보다는 역시 증가폭이 줄었다.
국내 은행권의 경우, 현재 1개 은행당 250명~350명 정도의 자체 IT인력을 확보하고 있다. 전체 인력대비 IT인력은 4%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 IT 전문가들은 금융권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로 금융IT 인력의 부족 현상을 꼽고 있다. 특히 자체 IT개발자가 갈수록 부족해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IT개발자는 단순히 IT를 개발하는 코딩 개발자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금융산업의 본질을 이해하고 충성도가 높으면서, 언제든지 시장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인력을 의미한다. 이런 질적으로 우수한 IT인력들이 많아야한다는 것이다.
대형 시중은행 출신의 한 IT전문가는 “예전과 비교했을때, 현재 국내 은행 IT본부에 200~300명 정도가 근무하지만 이제는 거의 다 관리자일 뿐”이라고 쓴소리를 했다. 그동안 은행들이 IT개발은 대부분 외주로 해결하고, 언제부터인가 자기들은 갑의 위치에서 협력 업체를 관리하는 관리자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설상가상으로 외부 IT협력업체들부터 아웃소싱을 통해 수혈할 수 있는 금융IT 인력도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금융회사가 자체적으로 차세대시스템 프로젝트 일정을 짜는데, 타 금융회사의 차세대시스템 진행 일정을 고려해야하는 상황까지 이르렀다. 타 금융회사에 투입된 대형 IT서비스 업체의 인력이 빠져나와야 하기때문이다.
타 금융회사의 차세대 사업에 끝날때까지 번호표를 뽑고 순서를 기다리고 있는 것은 사실 매우 위험한 신호다. 금융SI 시장이 소수의 IT업체만 존재하는 ‘공급자 독점’으로 흐르면, 결국 프로젝트 품질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커질 수 밖에 없다.
국내 금융SI 시장에서 이처럼 공급자 독점 현상은 삼성SDS가 지난 2014년 금융IT 시장에서 손을떼면서 더 심화됐다. 때문에 은행 차세대와 같은 대형 IT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대형 IT서비스업체는 LG CNS와 SK(주) C&C 2개사의 경쟁구도로 좁혀졌다. 한국IBM, HPE 등 글로벌 업체들은 이미 10여년전에 발을 뺐다.
현재 시장에는 이들 대형사외에도 뱅크웨어글로벌, IBK시스템, 대우정보시스템 등 중간 규모의 회사들의 각자 특화된 영역에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지만 이들이 1000억원 이상의 대형 사업을 단독으로 수주하는 것은 여의치 않다. 자본금 규정 등 입찰조건의 문턱이 중견 IT서비스업체들에게 지나치게 높게 설정돼 있기 때문이다. 아이러니하게도 금융회사 입장에선 IT인력 부족 문제를 스스로 더 심화시키고 있는 형국이다.
이 때문에 시장에서는 금융권의 대형 차세대시스템 프로젝트도 이제는 계정계, 정보계, e뱅킹 등 각 영역별로 분리발주하자는 주장에 설득력을 얻고 있다. 금융회사 입장에선 IT 프로젝트 관리가 이전보단 더 힘들어지겠지만 리스크를 줄이고, 전문성이 있는 IT업체들을 폭넓게 수혈할 수 있다는 점에선 긍정적이다. 2년전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의 전산시스템 구축 사례를 참고할만하다.